전주대사습놀이보존회(이하 보존회)의 집안싸움이 끝나지 않았다. 이번에는 이사장 권한대행 선출 결과에 반기를 든 이사들의 징계 문제다. 한쪽은 보존회의 분란을 초래한 이들에게 책임을 물어야 한다는 입장이고, 다른 한쪽은 이미 사퇴서를 제출한 상태에서 징계위원회를 소집한 것은 차기 투표권을 박탈하려는 의도라며 반발하고 있다.
전주대사습놀이보존회는 26일 오후 징계위원회를 열고 김영자·나재순·조소녀·최동철 이사 등 총 13명에 대한 징계를 논의할 예정이다. 김명신·김은정·김정민·신영자·왕기석·정명숙·조용안·최승희 이사, 김일구 회원도 징계 명단에 올랐다.
보존회 측은 징계 사유로 지난 1월 7일 실시된 보존회 이사장 권한대행 표결 선출에 불복해 법원 직무집행정지 가처분 신청, 사실무근의 기자회견, 명예를 훼손하는 호소문 작성 등을 들었다. 이로 인해 보존회의 위상이 떨어지면서 전주대사습놀이 전국대회 조직위원회로 대회 운영권이 넘어가고, 대통령상까지 취소됐다는 주장이다.
그러면서 보복이나 징벌이 아닌 조직의 질서와 원칙을 수호하기 위한 행동이라고 강조했다.
징계 명단에 오른 A 씨는 “대통령상이 취소된 이유는 지난해 전주대사습놀이 전국대회에서 불거진 심사 비리로 인한 것으로 본질을 깨달아야 한다”며 “이사장 권한대행 직무집행정지 가처분 신청이 기각된 이후 이사들도 대부분 사퇴서를 제출한 상태”라고 말했다.
이어 “사퇴서를 제출한 이유는 지금 누구를 탓할 상황도 아닌, 우리 모두의 책임이라고 판단했기 때문”이라며 “보존회가 자성 없이 반발하는 사람을 추려내는 데 급급하면 전주대사습놀이의 미래는 없다”고 덧붙였다.
또 다른 B 씨는 “사퇴서를 제출한 이사들에게 징계를 한다는 것은 차기 투표권을 박탈하겠다는 의도로 해석된다”며 “사퇴서를 제출한 마당에 무슨 징계가 더 필요하고, 보존회가 얻는 것이 무엇인지 묻고 싶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