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19대 대선이 15일 남은 가운데 대선 판도를 뒤흔들 변수가 주목된다.
최근 ‘주적’ 논란에 이어 ‘송민순 문건’파문이 연일 대선정국의 주요 쟁점으로 부각되고 있고, 보수 진영에서는 보수후보 단일화를 요구하는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또 최대 20%에 달하는 부동층 표심도 중반전으로 접어든 대선 레이스의 주요 변수가 될 전망이다.
송민순 전 외교통상부 장관은 지난 21일 노무현 정부가 북한 인권 결의안 기권에 앞서 북한에 사전 문의했다는 주장을 입증하는 문건을 공개한데 이어 문재인 더불어민주당 후보측도 23일 이를 반박하는 자료를 발표했다. 당시 청와대 연설기획비서관이었던 김경수 선대위 대변인과 당시 통일부장관 보좌관이었던 홍익표 선대위 수석대변인은 이날 2007년 11월 16일 안보정책조정회의와 18일 외교안보 간담회 논의 내용이 담긴 자료를 공개했다. 이들 자료에는 16일에 이미 기권 결정이 내려진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송 전 장관은 회고록과 문건 등을 통해 ‘16일에 결정이 나지 않아 북한의 의견을 구하고서야 추후 기권 결정이 내려졌다’고 밝혔다.
이 사안에 대해 자유한국당 홍준표 후보와 바른정당 유승민 후보는 “문 후보가 거짓말을 하고 있다”며 대대적인 공세에 나섰다. 국민의당 안철수 후보 측에서도 “잘못이 있으면 솔직하게 인정하고 국민들게 이해와 용서를 구하는 게 최선”이라고 지적했다.
문 후보 측은 경쟁 후보들의 공세에 ‘제2의 북풍 공작’ ‘비열한 색깔론’이라고 반박하고, 국가정보원의 관련 문건 공개 요구와 함께 송 전 장관에 대한 형사 고발까지 거론하며 정면 돌파에 나서고 있다.
바른정당과 자유한국당에서는 유승민 후보와 홍준표 후보의 단일화를 요구하는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보수측이 집권에 실패할 경우 공멸할 것이라는 이유에서다. 진원지는 바른정당이다. 바른정당 일부 의원은 유 후보 지지율 정체 대안을 논의하기 위해 의총개최를 검토하자고 요구했다. 의총에서는 ‘대선 완주론’과 홍준표 후보·안철수 후보와의 단일화 또는 연대해야 한다는 주장이 충돌할 것으로 보인다. 바른정당이 당내 갈등을 잘 정리하면 단일화 논란은 수그러들겠지만, 파열음이 커져 일부 의원이 이탈할 경우 남은 대선 레이스에 변수로 작용할 수 있다.
한국당에서도 단일화 목소리가 나오고 있는데, 한국당은 일방적 흡수를 주장하고 있다. 그러나 유 후보는 홍 후보와의 단일화는 물론 안 후보와의 단일화 가능성에도 문을 닫았다. 홍 후보도 “득표에 도움이 되지 않는다”며 단일화 가능성을 차단한 상황이다.
부동층 표심도 주요 관심거리다. 각종 여론조사에서 무응답층은 10~20% 선을 유지하고 있다. 이들은 보수-진보 등의 이념이나 지역주의보다 후보의 공약·정책·TV토론 등을 유심히 살펴본 후 선거가 임박해 표심을 결정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각종 이슈에 민감하게 반응한다는 것이다. 이런 변수들이 어느 후보에게 득이 되고 해가 될지는 좀 더 지켜봐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