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2003년(84회) 이후 15년만에 전북에서 개최되는 ‘99회 전국체전(내년 10월 개최)’을 둘러싼 예산문제가 전북도와 전주시의 갈등양상으로 치닫고 있다.
전주시가 애초 계획에 포함되지 않은 체전 시설물 개·보수 추가사업비에 대한 도비 지원을 요청했지만 전북도가 이를 받아들이지 않자 전주시가 체전 전반에 대한 예산을 편성하지 않고 대립각을 세우고 있기 때문이다.
전북도에 따르면 4월 현재 개보수가 진행될 체육관 시설 총사업비는 477억(국비 143억, 도비 99억, 시군비 235억)이다.
이 가운데 전주시가 부담해야할 사업비는 27억원이다. 하지만 전주시는 전북도가 추가 사업에 대한 도비 지원을 하지 않으면 추경에도 예산을 세우기 어렵다는 입장이다.
체전 시설물 개·보수 사업비는 지난 2014년 전국 체전 개최지로 전북이 결정된 후, 14개 시군 경기장 시설 전수조사를 통해 확정됐다.
그러나 전주시는 이후 완산체련공원암벽 스피드벽 설치를 위한 사업비(기존 2100만원)를 3억800만원, 완산수영장 터치패드 및 계측장비 보수 사업비(기존 10억8500만원)는 7억7000만원을 증액했다. 이에따라 전주시는 두 사업의 추가사업비 10억7800만원을 도와 시군비 분담 비율(5대5)에 따라 전북도에 50% 부담을 요구했지만 전북도는 이에 대해 추가 사업비는 전주시가 부담해야 한다는 입장이다.
전북도 관계자는 “이미 다른 시군은 추가 사업비를 자체 부담하고 있다”며 “기존 사업비도 예산에 반영하지 않은 전주시가 추가분 분담을 조건으로 예산을 아예 수립하지 않는 것은 문제가 있다”고 지적했다. 이 관계자는 “더욱이 체전 경기장 개보수 사업 예산은 애초 시군 부담이 70%로 높았는데, 송하진 지사 취임 이후 50% 수준으로 낮춘 것”이라고 덧붙였다.
도에 따르면 익산과 군산 부안도 추가사업비가 발생했지만 추가 사업비에 대해서는 시·군이 부담하기로 했다.
그러나 전주시는 “추가사업도 체전을 위해 개보수 하는 사업이므로 5대5의 매칭을 적용하는 게 맞다”며 “성공적 체전을 위한 기본적 협조는 하겠지만 추가 사업분에 대한 매칭이 없으면 추경에서도 예산 전액 확보는 힘들 것”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