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음달 새 정부 출범을 앞두고 지역균형 인사와 현안사업 예산 반영, 대선공약 이행 등 ‘전북 몫 찾기’를 위한 전북도의 대응 계획이 구체화됐다.
24일 전북도는 새 대통령 임기가 시작되는 다음달 10일부터 운영될 국정인수위원을 비롯해 국무총리와 장관 등 국무위원으로 전북 출신 인사를 추천할 계획이다.
정부의 전북 출신 인사 홀대, 지지부진한 새만금 개발과 지역 현안사업에 대한 무관심이 박근혜 정부에서 임계점에 이르렀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기 때문이다.
바른정당 정운천 의원(전주을)이 인사혁신처에서 받은 자료를 보면, 김대중 정부에서 발탁한 전북 출신 차관급 이상 인사는 31명(전체 대비 9.3%)이다. 노무현 정부는 34명(9.2%)이다. 이명박 정부 들어 전북 출신 고위공직자 비율은 크게 낮아졌다.
이명박 정부에서 전북 출신 차관급 이상은 14명(4.3%), 박근혜 정부에선 8명(3.4%)에 그쳤다.
또, 올해 하반기 정부 추가경정예산에 대비한 일자리 창출 등 지역 현안사업을 발굴하고 대통령 당선인과 캠프 측에 지역공약의 조속한 이행을 촉구할 방침이다.
현재 추경 편성에 대해선 국민의당 안철수 후보를 포함해 다른당 후보들은 부정적인 상황이며, 더불어민주당 문재인 후보만 집권 때 편성의지를 강력히 내보이고 있다.
지역공약의 경우 각 대선후보들의 공약집에는 빠졌지만, 대선 이후 당선인 측에서 지역별 공약을 정부부처에 제공할 계획으로 알려졌다.
전북도 관계자는 “대선 이후 송하진 지사가 당선인이나 캠프 측에 전북 출신 인사의 중용을 건의할 것”이라며 “정부의 추경 편성이 확정되면 지역 현안사업 반영에 도정 역량을 모으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