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욱이 정몽준 이사장은 군산시장과 지방의원들의 면담은 받아주지도 않는 등 지역을 무시하는 행태를 일삼고 있어 시민들의 반발은 더욱 커지고 있다.
지난 2월 1일부터 서울시 종로구 평창동 정몽준 현대중공업 이사장 자택 앞에서 문동신 군산시장을 비롯해 군산시의회, 군산상공회의소, 지역 시민단체 등은 90일째 릴레이 시위를 펼쳐지고 있다.
군산시에 따르면 현재까지 1인 릴레이 시위에 참여한 시민은 총 250여 명이며, 지금 이 시각에도 시민 단체들은 군산조선소 존치를 위한 전북도민의 간절한 뜻을 전달하고 있다.
하지만 현대중공업 측은 어떠한 공식 입장도 내놓지 않고 묵묵부답으로 일관하고 있어 군산시민의 목소리는 ‘공허한 메아리 ‘에 그치고 있다.
이런 상황에서 최근 현대중공업 그룹 내 조선 3사가 올해 1분기에 총 23억 달러(39척) 규모의 수주 계약을 맺은 것으로 전해졌으나, 군산조선소에 단 1척도 배정하지 않으면서 군산조선소를 살리겠다는 의지가 없는 것으로 보여 지역 차별이라는 비판이 거세지고 있다.
지역 정치권을 비롯한 시민단체는 “선박 수주 물량을 군산조선소에 우선 배분하라”며 현대중공업 규탄 성명을 앞다퉈 발표하고 있다.
군산국가산업단지 경영자협의회, 군산산업단지 조선협의회는 최근 “정부의 불합리한 조선업 정책으로 인해 군산 조선 산업은 단 한 척도 배정받지 못함으로써 고사 위기에 처해 있다”고 토로했다.
군산시의회도 지난달 기자회견을 통해 “대우조선해양은 수조 원을 투입해 살리면서 군산조선소는 ‘나 몰라라’하는 것은 국가적 지역 차별이며 군산경제를 고사시키려는 것”이라고 비난했으며, 전북도의회는 지난달 26일 정부와 대선 후보들에게 현대중공업 군산조선소 문제 해결 대책 마련을 촉구하는 결의안을 채택했다.
더불어민주당 문재인 후보와 국민의당 안철수 후보 역시 대선공약으로 ‘현대중공업 군산존치’를 내세우고 있으나, 이는 대선을 앞둔 호남 민심 달래기 뿐 실천 여부도 확실치 못하다는 우려가 커 시민들은 가동중단 위기에 직면한 군산조선소를 살리기 위한 특별한 대책을 요구하고 있다.
시민 김태식 씨(42)는 “군산시민과 전북도민을 무시하는 행태를 보이는 현대중공업이 근본적인 해결 의지를 드러낼 수 있도록 해야 한다”면서 “전북도와 군산시를 비롯한 지역 정치권이 힘을 모아 ‘군산조선소를 반드시 살린다’는 확답을 대선주자들에게 받아야 한다”고 말했다.
현대중공업 측은 오는 12일 마지막 주문 물량인 선박이 진수되고 나면 6월 말까지 내부 마무리 공사를 끝내고 7월 중 군산조선소 가동중단을 공시할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