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9대선 D-2인 7일 본보 기자들이 각 당이 승부처로 꼽고 있는 부산의 막판 민심을 가늠해 보기 위해 시민들을 찾아갔다.
부산의 최대 번화가인 서면에서 만난 고영진(37·회사원) 씨는 “누가 우리 사회에 뿌리내린 낡은 폐단을 청산하고 모든 국민에게 고른 기회를 보장할 수 있을까를 고민해 이미 후보를 결정했다”면서 “적폐 청산과 중소기업 육성을 통한 경제 활성화 등을 내세운 문재인 후보에게 소중한 한 표를 행사하겠다”고 말했다. 고 씨는 “누가 대통령이 되든 세월호 사고처럼 국민이 위급한 상황에 빠졌을 때 안전하게 지켜 주는 국가를 만들어 줬으면 좋겠다”고 말했다.
서면 롯데백화점에 놀러 나왔다는 최복희(74·가명) 할머니는 “시끄러운 나라를 안정적으로 이끌어 줄 것이라 믿고 사전투표를 통해 홍준표를 찍었다”면서 “선거일이 가까워질수록 주변 노인들의 생각이 다들 비슷해지더라”고 노년층의 분위기를 전했다. 최 할머니는 “선심성 공약에 의존하지 않고 나라를 안정적으로 수습할 수 있는 능력을 갖춘 대통령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남구 소재 부경대에서 만난 박성우(25·경영학과) 씨는 “20대들은 문 후보와 안 후보 이야기를 많이 했는데, TV토론회가 아무래도 안 후보에게 타격이 된 것 같다”며 “개인적으론 TV토론에서 말을 못 했다고 대통령 자질이 없는 건 아니라고 생각한다. 그래서 여전히 고민 중이다”고 말했다. 또 “이번 대선에서 친구들끼리 토론도 하고 비평도 했다”며 “확실히 대통령 탄핵으로 젊은 층의 정치에 대한 관심이 커진 것 같다. 나도 아직 후보를 고민 중이지만 투표는 꼭 할 거다”고 말했다.
중구의 국제시장에 남편과 장을 보러 나왔다는 결혼 3년 차 전업주부인 박현주(36)씨는 “사업하는 남편은 은근히 홍준표 후보를 밀어주는 것 같은데 홍 후보는 나와 안 맞는 것 같다”며 “TV토론을 보면서 심상정 후보에게 많이 끌리게 됐다. 말도 잘 하고 똑똑하기도 한 것 같다. 같은 여자로서 신뢰가 간다”고 말했다. 이어 “이런 이야기를 남편이랑 하면서 티격태격하기도 한다. 총선 때는 이렇지는 않았다. 그냥 무관심했다. 그러고 보면 우리 부부나 주변 사람들을 보면의 정치에 대한 관심이 전보다 훨씬 많아진 것 같다”고 말했다.
국제시장에서 택시를 탔다. 50대 중반이라고 밝힌 이영식 기사는 “40대까지는 대세가 문재인인 것 같다. 60대 이상 80%는 홍준표다. 홍준표 얘길 하는 사람이 최근에 늘었는데 바른정당 탈당자 복당은 득보다 실이 많은 것 같다. 보수결집이 속도가 빠른지 국정농단의 책임론이 다시 부상하느냐가 관건일 수 있다. 부산에서 심상정 얘기를 많이 하는 것도 특이한 추세인 것 같다”고 분석했다. 본보 기자들이 이날 부산에서 만난 유권자들 중에는 “누가 돼도 나라가 시끄럽겠지 않겠느냐”는 걱정을 하는 이들이 많았다. 9일 누가 대통령에 당선되든 이들의 걱정을 덜어 주는 통합의 정치가 급선무임을 피부로 느낄 수 있었다.
부산일보=서준녕·이현우·김백상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