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대 대선 유력 후보들은 모두 4차 산업혁명을 차기 정부의 중요 정책과제로 공약했다. 4차 산업혁명은 누가 당선돼도 차기 정부의 신성장동력 정책으로 추진될 가능성이 크다. 또 대선 이후 새 정부는 서민경제 활성화와 내수경기 부양, 중소기업 육성에 나설 것으로 예상돼 내수소비 관련주의 상승 가능성도 점쳐진다.
9일 금융투자업계에 따르면 4차 산업혁명 관련 분야로 사물인터넷(IoT), 인공지능(AI), 홍채인식, 빅데이터, 스마트팩토리, 스마트홈, 스마트카, 전자상거래, 통신인프라, 의료용 로봇 등이 꼽힌다. 4차 산업혁명은 미래성장동력 확보를 위한 시대적 흐름인 데다 대선 유력 후보들도 차기 정부의 중요 정책과제로 공약한 상태여서 향후 정책 추진에 대한 기대감이 높은 상태다.
과거 정부에서도 정권 교체기마다 차별화된 신성장동력 정책이 추진됐다.
김대중 정부에서는 벤처기업 육성을 위한 ‘IT붐’이 일었고 초고속정보망 구축으로 인터넷과 정보통신 관련주들의 주가가 상승했다.
노무현 정부에서는 10대 차세대 성장동력 산업으로 지능형 로봇, 차세대 이동통신, 바이오 신약 등이 선정됐다.
이명박 정부는 ‘녹색성장’을 신성장동력 정책으로 추진했고 박근혜 정부는 ‘창조경제’를 전면에 내세웠다.
4차 산업혁명 관련 정책 추진은 시대적 흐름에 뒤처지지 않기 위해서라도 정부가 눈여겨볼 수밖에 없는 상황이다.
이상헌 하이투자증권 연구원은 “4차 산업혁명 관련주의 경우 미래성장동력 가치에 대해 높은 가치평가 적용이 가능할 것이므로 관련 종목들의 주가는 상승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주가 상승으로 ‘거품’이 형성될 수도 있으나 이런 거품조차도 관련 산업에 대한투자를 일으켜 선순환하는 구조로 이어진다면 관련 산업이 성장하는 계기가 될 수 있다는 게 이 연구원의 분석이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