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재인 대통령 당선에 따라 전북의 정치 지형이 요동칠 것으로 전망된다. 특히 내년 지방선거에 상당한 영향을 끼칠 것으로 보인다.
현역 의원이 2명밖에 없는 더불어민주당은 이번 대선 승리를 계기로 내년 지방선거에서 약진할 가능성이 높다. 반면 지난해 4·13총선에서 전북의 수권정당으로 급부상한 국민의당은 대선 패배로 입지가 위태로워졌다. 지방선거를 앞두고 양당 간 치열한 주도권 싸움을 벌일 것으로 전망된다.
정의당과 자유한국당, 바른정당의 도내 정치적 위상변화도 관심사다. 정의당은 현역의원이 있는 바른정당, 자유한국당을 제치고 3등 정당으로 올라섰다. 대체로 의미 있는 선전이라는 것이 정치권 안팎의 평가다.
대선 결과가 미칠 전북 정치지형을 진단해본다.
더불어민주당은 이번 대선 승리를 계기로 지난 4·13총선 때 참패했던 충격에서 벗어나 수권 회복에 나설 것으로 보인다.
특히 집권 여당의 프리미엄을 토대로 내년 지방선거에서 승리를 거둬, 호남 적통 정당으로서 위치를 찾으려는 노력이 예상된다.
실제 민주당은 이번 대선을 통해 내년 지방선거에서도 당 확장과 인물 영입 등 유리한 고지를 점할 수 있게 됐다.
이러한 기류에 맞춰 국민의당 소속 광역 시·군의원들의 움직임도 주목된다. 도내 국민의당 광역 시·군 의원은 모두 61명이다. 이들은 내년 지방선거 국면에서 민주당이 여전히 주도권을 잡고 있으면 이탈할 가능성이 있다. 지방선거에서 당선 가능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조직력이 강한 수권 정당에 적을 두는 것이 유리하기 때문이다.
이는 민주당 입장에서 도의회와 시·군의회 지분을 확고히 할 수 있는 기회다. 게다가 지방선거가 열리는 내년 6월까지 대선 승리의 분위기를 이어가는 데도 유리하다. 김춘진 도당위원장도 “선거를 앞두고 좋은 인사가 복당의사를 밝힌다면 선별과정을 통해 영입할 것”이라고 밝혔다.
또 민주당이 여당이 되면서 전북 단체장들의 현안사업 행보와 예산확보에 유리해졌다. 도내 14개 시·군 자치단체장 가운데 무소속 김종규 부안군수와 심민 임실군수, 국민의당 정헌율 익산시장을 제외하면 모두 민주당 소속이다. 지역 현안 해결에 강력한 영향력을 행사할 수 있게 된 셈이다.
이 때문에 정치권은 민주당이 지방선거 때까지 주도권을 유지하는 데 유리하다는 전망을 내놓고 있다.
그러나 변수도 있다. 이번 대선에서는 도민들이 ‘정권교체’라는 당위성에 입각해 집권이 유리한 후보에게 전략적으로 표를 행사했지만, 지방선거는 다를 수도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정치권 관계자는 “향후 1년 동안 국정운영이 제대로 이뤄지지 않거나, 전북 공약 실천의지가 제대로 보이지 않을 경우 지방선거에서 민심은 돌아설 가능성이 있다”고 분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