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북지역 소상공인 5명중 1명이상이 외식업체를 운영하고 있지만 1년 내 폐업률이 절반에 가까워 대책 마련이 시급한 것으로 나타났다.
11일 전북경제통상진흥원에 따르면 최근 통계청이 발표한 자료에서 전북지역 소상공인은 전체 사업체의 89.6%, 종사자는 전체 산업종사자의 46.0%를 차지했다.
또한 올 3월 기준으로 전체 소상공인 중 21.6%가 외식업체를 운영하고 있는 것으로 집계됐다. 그러나 이 중 45%는 창업 후 1년 이내에 폐업을 하고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경진원이 소상공인 상권정보시스템을 분석한 결과 도내 외식업체 10곳 중 2곳은 매년 창업과 폐업을 하는 악순환을 반복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경진원은 ‘위기에 빠진 소상공인 외식업 실태와 지원방안’보고서에서 우리지역 외식업체 소상공인들이 느끼는 체감경기는 ‘제2의 IMF 수준’이라고 진단했다.
정부와 지자체 등은 소상공인을 위한 다양한 정책을 추진하고 있으나 지원대상에서 제외된 소상공인이 많은 것도 문제점으로 지적됐다.
중소기업청이 실시한 설문조사에서 정부의 소상공인 지원정책을 인지하고 있는 업체는 평균 6.9%로 매우 적었다.
경진원은 보고서에서 전북지역은 특히 외식업종 소상공인에 대한 추가적인 지원정책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도내에서 폐업 위험성이 가장 높은 업종으로는 치킨집과 커피숍이 지목됐다.
전북은 치킨집 2422개, 커피숍 3523개로 전체 외식업체의 8.2%를 차지하고 있다.
특히 도내 치킨집 폐업률은 창업률에 비해 1.6배 높았다.
이 같은 현상은 전북의 치킨집 비율이 전국평균보다 높아 출혈경쟁이 치열하기 때문이다.
전주의 한 치킨집 대표 A씨는“지역소상공인들의 제로섬 게임을 막기위해서라도 외식업계의 불합리한 구조는 꼭 개선해야 한다”고 토로했다.
경진원 관계자는“외식업에 종사하는 소상공인들의 극심한 출혈경쟁으로 인한 위기는 프랜차이즈 본사의 무리한 확장전략이 가장 큰 영향을 미치고 있다”고 밝혔다.
한편 경진원은 이번 연구결과를 토대로 지원사업의 세분화와 산업구조 제도개선 방안 등을 모색할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