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의당은 3위에 자리해 도내에서 진보정당의 존재감을 각인시켰다. 반면 지난 4·13총선에서 20년만에 지역구 의원을 배출한 보수정당은 정치적 위상이 약화됐다. 이들 정당의 대선 득표율은 내년 지방선거 가늠자로 작동할 것으로 보인다.
정의당은 이번 대선에서 4.9%의 득표율을 얻었다. 당 내부에서는 소규모 정당으로서의 한계는 인식하면서도 진보정당의 약진에 의의를 두고 있다.
정의당은 현재 지방선거체제로 당을 전환한 뒤 후보 발굴에 매진하고 있다. 지방선거에서 다수의 후보를 배출하거나 당선시켜 도내에서 입지를 구축하겠다는 구상이다.
지난 2014년 지방선거 당시 정의당은 전주시 1명, 익산시 4명, 김제시 1명 등 6명의 지역구 기초의원 후보자를 냈고, 이 가운데 2명(김수연·송호진 익산시의원)이 당선됐다.
정의당 관계자는 “지난 2014년 지방선거보다 환경이 더 좋아져서 많은 후보자를 낼 것”이라면서 “도지사부터 각 시·군 자치단체장까지 체계적으로 준비하고 있다”고 밝혔다.
정치권에서도 정의당이 기존보다 광역, 시·군 의원을 더 배출할 가능성이 있다고 분석한다. 이번 대선 지지율이 지방선거 때 정당지지도로 이어지면 지방의회 비례의석을 확보할 확률이 높다는 것이다.
반면 기존에 비해 지지율이 하락한 자유한국당과 바른정당은 내년 지방선거가 어려워질 수도 있다는 분석이다. 자유한국당과 바른정당은 이번 대선에서 각각 3.3%와 2.6%를 얻었다. 두 정당의 지지율을 합쳐도 5.9%에 불과하다. 지난 18대 대선에서 얻었던 지지율(새누리당 13.22%)에 비해 크게 낮아진 셈이다.
정치권에서는 두 정당의 대선 지지율이 지방선거까지 이어지면 광역은 물론 시·군 의원도 배출할 수 있는 확률이 낮아질 수 있다고 전망한다. 특히 한국당은 광역의원 1명, 기초의원 4명(전주·군산·익산·김제)을 보유하고 있는데, 모두 정당 득표율로 배정된 비례대표다. 바른정당은 현재 지방의회에 진출한 의원이 한 명도 없다. 이로 인해 두 정당 모두 이번 대선 지지율이 상당히 중요한 상황이었다. 지방선거의 지지율을 가늠할 수 있는 바로미터가 될 수 있어서다.
현재 한국당과 바른정당 모두 발등에 불이 떨어진 상황이다. 당장 후보자 공천도 쉽지 않은 상황이다.
자유한국당 관계자는 “대선 지지율 때문에 공천 희망자도 대폭 줄 수도 있다”며 “처음부터 다시 시작한다는 마음으로 열심히 뛸 수 밖에 없다”고 밝혔다.
바른정당 관계자는 “광역 시·도 의회 통털어서 한 두 석 정도 의석을 차지하는 방향으로 목표를 잡고 있다”며 “현역 국회의원 프리미엄을 활용해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말했다.
<끝>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