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재연 환경운동연합 대표 "미세먼지, 지역 차원 점검을"

초록시민강좌서 특강…"중국 때문이란 추론 의문"

 

“최근 미세먼지 농도가 역대 최고치는 아닙니다. 미세먼지 대책은 외부가 아니라 내부에 있습니다.”

 

지난 15일 오후 7시 30분 전주시 고사동 중부비전센터에서 전북환경운동연합 주최로 열린 ‘2017 초록시민강좌-미세먼지’ 특강에 강사로 나선 장재연 환경운동연합 공동대표(아주대 예방의학교실 교수)는 미세먼지 대책에 대해 ‘외부가 아니라 내부에 있다’고 주장해 관심을 모았다.

 

강의를 시작하며 ‘미세먼지의 오해와 진실’이라는 화두를 던진 장 대표는 일반적으로 알고 있는 미세먼지의 증가, 중국발 미세먼지의 심각성 등에 대해 의구심을 가져야 한다고 지적했다.

 

그는 “정부와 언론들은 ‘한국의 미세먼지 발생량 중 86%는 중국에서 온 것’이라고 주장하고 있다”며 “물론, 중국의 영향도 있을 수 있지만, 우리나라의 미세먼지 농도는 과거에 더 높았다는 점을 유념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특히 학위 논문을 준비하면서 미세먼지 측정을 시작했다는 장 대표가 밝힌 ‘서울시 미세먼지(PM10) 농도 현황’에 따르면 지난 1989년 150㎍/㎥로 매우 높았던 미세먼지는 지난 2014년 40㎍/㎥로 오히려 감소하는 추세다.

 

장 대표는 “최근 몇 년 사이 미세먼지 농도가 증가하고 있지만, 석탄을 땔 당시보다 전체적으로는 좋아지고 있다”며 “미세먼지는 신종 오염물질이라는 사고를 버려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어 “편서풍의 영향을 받는 우리나라의 미세먼지의 80%는 중국 때문이라고 주장하지만, 합리적인 추론은 아니다”며 “우리나라 미세먼지 농도가 100㎍/㎥이면, 거리가 먼 중국은 1600㎍/㎥정도가 되어야 하는데 물리적으로 불가능하다. 특히 한국 내부와 일본, 북한 등에서 오는 미세먼지도 고려할 부분”이라고 말했다.

 

장 대표가 말한 효과적인 미세먼지 대책은 ‘외부가 아니라 내부에 있다’고 한다.

 

장 대표는 “노후 경유차 감소와 에너지 절감 대책 등으로 일부 지역에서는 대기질이 개선되는 지표도 있다”며 “그러나 전북의 지표가 오히려 서울보다 좋지 않다는 점은 그동안 대기 정책이 지역에서 잘 시행됐는지부터 점검해야 한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