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북일보 카드뉴스] <임을 위한 행진곡>과 '비정상의 정상화'

 

 

 

 

 

 

 

 

 

 

 

 

 

 

 

#표지.

<임을 위한 행진곡> 과 ‘비정상의 정상화’

#1.

[사랑도 명예도]

1980년 5월. 신군부는 민주화에 대한 열망을 잔혹하게 짓밟았다.

#2.

[이름도 남김없이]

1982년 2월 20일.

1980년 5월 27일 계엄군의 총에 맞아 산화한 시민군 대변인 윤상원 열사와 들불야학에서 활동하다 1979년 세상을 뜬 노동운동가 박기순 열사의 영혼결혼식.

#3.

[한평생 나가자던]

백기완 선생의 시 <묏비나리> 를 바탕으로 황석영 작가가 지은 가사와 김종률 작곡가가 지은 곡이 붙어, 이 결혼식을 위한 노래 한 곡이 완성됐다.

#4.

[뜨거운 맹세]

제목은 <임을 위한 행진곡> .

#5.

[동지는 간데없고]

1997년, 5·18이 국가기념일로 공식 지정되면서 매해 기념식에서 공식 제창됐다.

#6.

[깃발만 나부껴]

그러다 이명박 정부 2년째였던 지난 2009년 ‘합창’으로 바뀌면서 민중은 ‘공연’의 ‘구경꾼’이 되고 말았고,

#7.

[새날이 올 때까지]

심지어 2010년엔 잔칫집에나 어울릴 <방아타령> 을 연주하려는 시도도 있었다.

#8.

[흔들리지 말자]

국가보훈처 “ <임을 위한 행진곡> 기념곡 지정은 물론, ‘제창’으로의 변경도 불가”(2016년 5월 16일)

#9.

[세월은 흘러가도]

지난겨울, 거리를 수놓은 촛불들.

#10.

[산천은 안다]

촛불로 이룬 탄핵과 정권교체. 그리고 ‘제창’을 막아 왔던 박승춘 국가보훈처장은 그 자리에서 물러나게 된다.

#11.

[깨어나서 외치는]

9년 만의 ‘비정상의 정상화’.

#12.

[뜨거운 함성]

올해 5·18 기념식에선 <임을 위한 행진곡> 을 다시 ‘제창’할 수 있게 됐다.

#13.

[앞서서 나가니 산 자여 따르라]

(전주 관통로에서 열린 촛불집회 모습)

#14.

[앞서서 나가니 산 자여 따르라]

(전북대 故 이세종 열사 추모비 앞에서 열린 추모식)

/기획 신재용, 구성 권혁일, 그림 이권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