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은 전북본부 화폐수급 재개 추진

제3금융도시 공약 실현 위해 필요 / 송 지사, 도 차원 특단의 노력 당부

전북도가 ‘지역 홀대’논란을 불러온 한국은행 전북본부의 화폐수급 업무가 재개되도록 역량을 모으기로 했다.

 

송하진 도지사는 최근 “전북이 제3의 금융도시로 거듭나기 위해선 한국은행 전북본부의 화폐수급 업무가 재개돼야 한다”며 “전북도 차원의 특단의 노력”을 당부한 것으로 알려졌다.

 

송 지사는 “기금운용본부 이전을 계기로 금융인프라 기능 강화가 어느 때보다도 중요하다”며 “금융중심도시 조성을 통한 전북금융산업 육성이 도민의 열망이다. 한국은행의 화폐수급 업무 재개는 반드시 필요하다”고 말했다.

 

서울과 부산에 이은 국내 제3의 금융도시 건설은 송하진 지사의 공약이자 문재인 대통령의 전북지역 핵심공약이다.

 

제3의 금융도시 조성, 국민연금 기금운용본부 이전과 3대 지방은행인 전북은행의 광주은행 인수 등 달라진 전북의 금융환경을 반영하기 위해선 화폐수급 업무가 필수 조건이다.

 

전북도는 제3의 금융도시 건설을 위해 157억 원을 투입해 금융타운 부지를 매입했고, 현재 구체적인 방향 설정을 위한 기본구상 용역까지 마친 상태다.

 

앞서 한국은행은 2012년 ‘지역본부 화폐수급 업무 광역화 조치’의 일환으로 전북본부 등 전국 16개 지역본부가 담당하던 화폐수급 업무를 5대 광역본부로 통·폐합했다. 그러나 지난해 6월부터 한국은행 인천본부와 강원본부의 화폐수급 업무는 재개됐지만, 전북본부는 업무 재개 대상에서 제외됐다.

 

이에 국정감사에서도 전북권 화폐수급 업무 재개를 촉구하는 목소리가 컸다.

 

지난해 10월 4일 국회 기획재정위원회 소속 박주현 의원(국민의당, 비례)은 한국은행 국정감사에서 “전북의 경우 화폐 수요뿐만 아니라 앞으로 새만금 개발, 국민연금공단 기금운용본부 이전, 전북혁신도시 조성 등으로 원활한 화폐수급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당시 박 의원은 또 “전북은 화폐수급 업무를 통합하기 전 수급량도 폐지된 지역 가운데 두 번째로 많고, 전북금융타운도 조성되는 만큼 적극적으로 고려하길 바란다”고 주문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