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주가 ‘대한민국 책의 도시’라는 명성을 얻었지만 책 읽는 시민들의 책 사랑과 타인에 대한 배려 의식은 낙제점이라는 지적이다. 빌린 책을 제때 반납하지 않는 도서 연체율이 전국 평균의 2배를 넘을 정도로 높은 수준을 기록하고 있기 때문이다.
전주시의회 양영환 의원(평화1·동서학·서서학동)은 23일 열린 제340회 임시회 제2차 본회의에서 5분 발언을 통해 “정부로 부터 ‘2017 대한민국 책의 도시’ 상징기를 전수받은 ‘책의 도시’ 전주시의 2016년 총대여 권수 대비 미회수 되거나 연체 기간이 지나 회수된 도서 비율(연체율)이 5%에 달했다”며 “이는 서울지역의 연체율 4.4%보다 높으며, 서울 외 지역의 연체율 2.3%보다 2배 이상 높은 것”이라고 지적했다.
이어 “미회수 도서가 급증하고 있는 것도 문제”라며 “2015년 283권이었던 미회수 도서가 2016년에는 507권으로 2배 가량 늘었으며, 올해 미회수 도서는 지난해 수치의 약 3배인 1458권으로 급증해 전주시 차원의 대책이 필요한 시점”이라고 강조했다.
양 의원은 “전주시가 현재 추진중인 시립도서관 11곳과 공립 작은도서관 29곳의 소장 도서 통합 검색 및 대출·반납 시스템 구축 사업이 연체율을 낮출 좋은 방안이라고 생각된다”며 “하지만 이보다 한 발 더 나아가 생활 근린시설 가까이에 도서 반납기를 설치하고, 책을 소중하게 생각할 수 있는 도서 교육 확대 등이 필요하다”고 제안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