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 대통령이 임기 초반부터 강력한 개혁 드라이브를 건 가운데 이를 뒷받침하는 1기 내각 인사청문회와 일자리 추가경정예산안 편성, 개혁입법과 정부조직개편 등이 6월 국회의 문턱을 넘어야 하기 때문이다. 청와대와 여야는 지난 19일 일단 ‘협치’의 기치를 들었다. 문 대통령과 여야 5당 원내대표는 청와대 오찬 회동에서 여·야·정이 참여하는 상설국정협의체 구성에 합의했고, 각 당의 ‘대선 공통공약’을 우선 추진하기로 뜻을 모았다.
하지만 청와대와 여야의 합의사항은 총론적인 틀에 불과한 만큼 실제 세부사항을 놓고는 상당한 진통이 이어질 것이라는 관측이 나온다. 우선 일자리 추경이 최대 난제로 떠오른다.
새 정부는 일자리확충에 속도를 내는데 반해 야당 측은 문 대통령이 후보 시절 공약한 10조 원 규모의 추경 예산 편성과 이를 통한 공공부문 81만 개 일자리 창출에 난색을 보이고 있다.
이와 함께 인사청문회도 여야 관계를 냉각시킬 주요 변수로 급부상했다. 이낙연 국무총리 후보자에 대한 청문보고서 채택이 불발된데 이어 강경화 외교부장관 후보자와 김상조 공정거래위원장 후보자의 위장전입 문제 등에 대해 야당은 파상공세를 이어가고 있다.
이처럼 산적한 난제를 의식한 듯 집권여당인 더불어민주당은 6월 국회에서 무리한 밀어붙이기보다는 야당 측과의 협의를 통해 원만히 첫 단추를 끼우겠다는 의지가 강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