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선 국회는 29일 서훈 국가정보원장 후보자에 대한 청문회를 연다. 이어 김상조 공정거래위원장 후보자와 김동연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 후보자는 각각 6월 2일(정무위원회)과 6월 7일(기획재정위원회) 청문회에 출석한다.
김이수 헌법재판소장 후보자와 강경화 외교부 장관 후보자 역시 6월 초 인사청문회 일정이 잡힐 것으로 보인다. 여야는 김이수 후보자에 대한 임명동의안을 받아 지난 26일 국회 인사청문특별위원회를 구성하는 등 청문 절차에 돌입했으며, 강 후보자 청문요청안도 26일 접수됐다.
이번 ‘청문 정국’의 가장 큰 변수는 후보자들의 잇따른 위장전입 의혹으로 여야 관계가 급랭한 속에서 이뤄진다는 점이다. 정치권 안팎에서는 후속 인사청문회의 경우 종전보다 한층 더 날이 선 검증 공방이 펼쳐질 가능성이 높을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서 후보자를 겨냥해서는 대북관과 안보관이, ‘재벌 저격수’로 불리는 김상조 후보자에 대해선 기업관과 언론에서 제기된 위장전입 의혹이 주로 검증대상이 될 전망이다.
김이수 후보자는 헌법재판관으로서 통합진보당 해산 사건에서 기각 의견을 내는 등 진보 성향의 결정들을 내렸다는 점이 야당의 타깃이 될 것으로 보이며, 강 후보자는 자녀의 이중국적·위장전입과 두 딸이 증여세를 뒤늦게 납부했다는 의혹이 도마에 오를 것으로 예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