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컬푸드' 신뢰 떨어뜨리는 매장 양산 막아야"

도내 식당 등 50여곳서 명칭 사용 / 전북도 인증 직매장 29곳 뿐

이른바 ‘짝퉁 로컬푸드’ 매장 양산을 막기 위해 로컬푸드 명칭 사용을 제재할 수 있는 대책 마련이 요구된다.

 

도내 식당과 판매점, 농축산물 대리점 등 50여곳에서 로컬푸드 명칭을 사용, 지자체 검증과 관리를 받는 로컬푸드 직매장 이미지와 신뢰성을 훼손할 수 있기 때문이다.

 

당초 로컬푸드는 농가와 소비자와의 직거래 유통 시스템 확보와 식품 안전성을 위한 농약잔류 검사로 지자체가 재배부터 출하까지 교육·관리하며, 품질을 보증하는 유통시스템으로 도입됐다.

 

29일 현재 전북도가 인증한 도내 로컬푸드 직매장은 모두 29곳으로, 완주 12곳, 전주 6곳, 군산·익산·정읍·김제 각각 2곳, 남원 1곳 등이다.

 

완주로컬푸드 명성이 전국적으로 알려지면서 전남 순천 등 타지역 식당들도 농가에서 직접 야채 등을 납품받는 방식으로 로컬푸드란 단어를 쓰고 있다. 하지만 로컬푸드 명칭 사용에 대한 제재 수단이 없어 지자체의 관리를 받는 로컬푸드 직매장 신뢰도에 흠집을 내고 있는 실정이다.

 

실제 정읍의 한 조합 로컬푸드는 잔류농약 검출로 전북도 인증이 취소됐지만 여전히 로컬푸드 명칭을 사용하며 판매를 해 질책을 받았다. 인증 취소가 매장 폐쇄로 이어지는 것은 아니기 때문이다.

 

도 관계자는 “현재 로컬푸드란 명칭은 누구든 쓸 수 있으며, 이를 제재할 수 있는 수단이 없는 실정”이라며 “철저한 검증을 통해 전북도 인증을 받는 원조 로컬푸드 직매장의 신뢰도를 지키기 위한 방안을 강구해 보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