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읍 무성서원 "인문학 향기 속으로 초대합니다"

문화재청 '문화재 활용 공모사업' 선정 / 판소리·서예·전통문화 관련 강연 펼쳐 / 시,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 등재 추진

▲ 정읍 칠보면에 위치한 무성서원 전경.

정읍시 칠보면 무성서원(사적 제166호)에서 다양한 인문학 강의와 풍류체험을 곁들인 프로그램이 운영되며 관심을 모으고 있다.

 

시 문화예술과에 따르면 지난해 문화재청이 실시한 문화재 활용 공모사업(살아 숨쉬는 향교·서원 활용)에 선정되어 마련됐다.

 

지난 5월부터 신청자들을 대상으로 1박2일 동안 ‘최치원의 사상과 현가루(絃歌樓)의 풍류를 찾아서’라는 주제로 다양한 프로그램을 운영 중이다.

 

프로그램은 크게 ‘풍류(風流)와 도(道)를 논하다’, ‘무성서원 음악과 춤으로 만나다’, ‘선비정신 학(學)에 기대다’, 무성서원 예(禮)에서 놀다’이다.

 

‘풍류(風流)와 도(道)를 논하다’는 풍류도와 최치원을 주제로 진행되는 인문학 강연이다. 김재영 정읍역사문화연구소장과 신용문 국가중요무형문화재 제20호 대금정약 이수자, 이선수 전라정가진흥회 대표(가곡) 등 여러 관련 전문가들이 강연(공연)한다.

 

또 ‘무성서원 음악과 춤으로 만나다’에서는 전라북도 무형문화재 판소리 예능보유자 왕기석 명창이 ‘힐링 판소리 바람처럼 물처럼’을 주제로 판소리 한마당(10월 21일, 10월 22일)을 펼친다.

 

‘선비정신 학(學)에 기대다’는 정가(正歌)와 서예 등 고전을 배우는 시간이다. 이선수씨와 김부식(대한민국미술대전 초대작가)씨가 지도한다.

 

‘무성서원 예(禮)에서 놀다’에서는 선비정신과 전통문화를 답사하고 체험한다. 사자소학과 사자성어 배우기와 충과 예에 대한 탁본 해보기, 선비 예절 배우기와 무성서원 주변과 문화재를 답사하는 ‘선비의 길을 따라서’ 등 다양한 내용으로 진행된다.

 

참가 희망자는 단체 또는 개인별로 무성서원 모현회 향교·서원 활용 사업단(063-531-1022)에 신청(문의)하면 된다.

 

한편 무성서원은 신라 말 태산군수를 지낸 고운 최치원의 유덕을 기리기 위해 세운 생사당에서 유래됐다.

 

1696년(숙종 22년) 사액됐다. 1868년 정부의 서원철폐령에도 화를 면한 전라북도 유일의 서원으로, 호남 선비문화의 중심지이다. 시는 이러한 가치를 기리기 위해 오는 2019년을 목표로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 등재를 추진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