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5세기 문헌 표기도 메나리, 메누리 등에서 메(진지,밥)+나르(다)+이로 분석된다. 따라서 며느리의 어원은 시집 식구들에게 음식을 만들어 제공하고, 제사 때 음식(제삿밥+메) 나르는 일을 도맡아 한다는 뜻에서 진지를 나르는 사람이다. 그러나 ‘며느리’라는 표현의 어원을 살펴보면 그렇지 않다는 것을 쉽게 알 수 있다. 우선 첫 번째 인용에서 주장하는 며늘/미늘/마늘이 기생한다는 의미를 가진다는 기록이 어떤 문헌에도 없다. 따라서 이 주장은 처음부터 잘못되었다. 또한 ‘며느리’의 ‘리’를 ‘아이’로 해석하는 것도 근거도 없으니 이 주장은 처음부터 잘못된 것임을 알 수 있다. 두 번째 주장은 어원에 대해 상당히 가깝게 접근했으나 마지막 해석에서 사회문화적 배경을 무시하는 바람에 문제가 발생한다. 며느리를 ‘메’와 ‘나리’로 분석하면서 ‘메’를 ‘진지’ 혹은 ‘밥’으로 해석한 것까지는 좋았으나 ‘느리’를 ‘나르다’로 해석하면서 이 주장은 설득력을 잃기 시작했다. 왜냐하면 ‘나리’ 혹은 ‘느리’는 ‘나르다’로 형태변화가 되거나 해석될 수 있는 근거가 어디에도 없기 때문이다.
그렇다면 ‘며느리’의 어원은 무엇일까? 조선 후기의 기록에서 알 수 있듯이 ‘며느리’의 오래된 명칭은 일부 지방에서 쓰고 있는 ‘메나리’인 것을 알 수 있다. 이런 점에서 볼 때 ‘메를 내려받는 사람’이 된다. 여기서 ‘메’는 신에게 바치는 음식 중에서 밥을 가리킨다. 지금도 제사를 지낼 때 ‘메’를 올려라는 표현을 쉽게 볼 수 있다. 한 가정에서 제사를 모시면서 조상을 숭배하는 일은 우리 사회에서 대단히 중요한 일이었다. 왜냐하면, 조상의 음덕으로 자손이 번창한다고 믿었기 때문이다. 그런데 그 제사를 모시는 중심 인물이 바로 ‘며느리’라는 사실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