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 위원장은 “청년실업 해소를 위한 일자리 창출은 우리 사회 심각한 소득의 양극화 문제와 금수저·은수저·흙수저와 빈부갈등의 문제, 나아가 붕괴된 중산층의 복원과 같은 정치·경제·사회 문제를 통합적으로 다루는 국가적 과제”라며 “적재적소에 제대로 된 예산 투입으로 가능한 최대의 효과를 국민께 되돌릴 수 있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정부가 일자리 추경에 나선 것은 일자리 정국의 올바른 방향을 설정하기 위한 것”이라 들고 “여소야대 정국에서 진정으로 일하는 대한민국을 만들고자 하는 정부의 발목을 잡고 또 다시 아무것도 해결하지 못하는 과거의 무능력한 정부를 만들려 해서는 안된다”며 조속한 추가경정 예산안의 심사와 통과를 요구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