또 김상곤 교육부총리·안경환 법무부 장관·조대엽 고용노동부 장관 후보자 등 신상 논란이 제기된 다른 인사청문회 대상자를 향해서도 사퇴를 촉구하며 공세의 수위를 끌어올렸다.
박 비대위원장은 PBC 라디오에서 “인사청문 제도가 무슨 필요가 있나. 제도 자체를 폐기하라”며 “(임명 강행시) 협치 구도가 깨져버리기 때문에 당분간은 의회의 작동과 기능이 상당히 영향을 받을 것”이라고 경고했다. 이는 청와대가 강 후보자에 대한 국민의당 입장을 무시할 경우 향후 추가경정예산(추경)안이나 정부조직법 처리 등에 있어 정부·여당에 협조하기 어려울 수 있다는 뜻을 내비친 것으로 해석된다.
민주당은 16일 예정됐던 광주 현장방문 일정을 취소하고 오전 9시 국회에서 ‘강경화 정국’ 대응을 위한 긴급 비상대책위원-국회의원 연석회의를 개최하기로 했다.
국민의당은 국회에서 제기된 야당 의견을 외면한 채 청와대가 국민 여론에 기대 공직후보자 임명을 밀어붙이려는 태도에 문제가 있다고 보고 있다.
이에 따라 16일 비상회의에서는 추경·정부조직개편 협조 거부 등 다양한 방안을 두고 논의가 이뤄질 전망이다. 특히 국민의당은 인사청문 심사경과보고서 채택이 불발된 김이수 헌법재판소장 후보자와 관련해서는 절차 협조 여부에 대해 수일째 명확한 입장을 내놓지 않았지만, 비상회의를 통해 인준 반대로 결론을 내릴 가능성도 제기된다.
그간 호남을 지역구로 둔 당내 의원들 사이에서는 김 후보자에 대한 긍정적인 기류가 감지되기도 했지만, 강 후보자 임명이 확실시되면서 분위기가 달라질 가능성이 크기 때문이다.
국민의당은 신상 관련 의혹이 불거진 다른 후보자들도 추가 낙마 대상으로 거론하면서 압박의 수위를 높였다.
이용호 정책위의장은 김상곤 후보자의 논문 표절 의혹을 거론하며 “자진 사퇴하지 않으면 청와대가 지명을 철회해야 한다”고 말했다. 안경환 후보자의 여성비하 논란에는 “범죄자가 법무부 장관이 되는 셈”이라고 혹평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