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재인 대통령의 ‘브레인’격인 장하성 청와대 정책실장이 15일 군산조선소 문제에 대해 “지역의 생존이 걸린 문제란 걸 잘 안다. 희망을 만드는 단계를 밟아가고 있다. 희망의 끈을 놓지 말고 기다려달라”고 밝혔다.
정부의 일자리 추경과 관련한 정책 방향을 설명하고, 전국 시도에 협조를 구하기 위한 첫 일정으로 전북을 찾은 장 실장은 이날 전북도청에서 송하진 지사를 만나 “조선소 협력업체들의 철수 등에 대한 현황을 구체적으로 파악했다”며 “군산 뿐 아니라 그 지역 청년 인재들이 고향에서 취업해 보람을 찾도록 해야 한다”고 말했다.
장 실장은 이어 전북도청 출입기자 간담회에서 군산조선소 정상화와 문 대통령의 전북공약, 지역 일자리 창출 방안 등에 대해 설명했다.
특히 다음달 1일 가동 중단이 예고된 군산조선소와 관련해 “지난 정부에서 손을 놓았던 게 문제다. 이 때문에 전북도가 군산조선소에 집중하다보니 (다른 지역발전 공약들을)챙겨야 할 것을 놓쳤다”며 아쉬움을 표했다. 장 실장은 “군산조선소는 그래서 더욱 해결해야 할 문제”라고 강조했다.
장 실장은 또 새만금 개발 등 문재인 대통령의 전북공약에 대해선 “새만금 사업이 완료된 이후의 산업화나 재정 확보 문제에 관심을 두고 있다”면서 “대통령은 지역공약에 대해 회피하지 않겠다는 생각”이라고 밝혔다.
그는 “혁신도시를 기반으로 한 전북 제3금융도시 조성 등 지역 특성에 맞는 일자리를 만들기 위해 자치단체와 협의하겠다”고 말했다.
이와 관련, 전북도는 군산조선소 정상화 지원과 속도감 있는 새만금 개발, 제3금융도시 육성 등을 담은 건의문을 장 실장에게 전달했다.
장 실장은 정부의 일자리 추가경정예산(추경)에 대해 ‘사실상 지역 일자리 추경’이라며 소방·경찰공무원, 보육교사, 노인 돌봄, 치매 관리 등 사회서비스인력들이 전국 각지에서 주민들에게 더 나은 서비스를 제공하게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장 실장은 “지역에서 일자리를 갖지 못한 많은 청년들이 창업하고, 재기의 기회를 갖게 될 것”이라며 지방 몫인 3조5000억 원 중 2500억 원 이상이 전북에 배정될 것으로 전망했다. 특히 전북형 일자리를 창출할 탄소산업 클러스터에 69억 원이 반영됐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