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 정부 내각 인선문제에서 촉발된 정국 경색이 장기화할 조짐을 보이는 가운데 국민의당 전북 정치권이 곤혹스러운 모습이다. 전북 정치권의 “해줄 것은 해주고, 문제가 있는 사안에 대해서는 철저한 검증을 해야 한다”는 입장과 달리 당내 강경대응 모드가 지속되고 있어서다.
국민의당은 19일 의원총회에서 인사 정국과 관련한 문재인 대통령의 입장표명이 없으면 국회 의사일정에 협조할 수 없다고 의견을 모았다.
최명길 원내대변인은 의총 직후 “아무런 설명 없이 강경화 외교부 장관 임명을 강행한 문재인 대통령의 입장 표명이 있어야 한다”며 “그렇지 않으면 국민의당은 국회 의사일정에 적극적으로 참여하기 어려울 것”이라고 밝혔다.
이어 “국민의당이 전면적으로 인사청문회를 보이콧할 가능성은 없다”면서도 “운영위 소집을 ‘정치공세’라며 받아들일 수 없다는 여당 태도로 볼 때 원활하게 국회 일정을 잡아 진행하기 어려운 만큼 냉각기를 가져야 한다는 입장”이라고 설명했다.
국민의당의 이 같은 입장은 대통령의 사과가 없으면 추경 등의 문제에 대해 협조할 수 없다는 의지를 우회적으로 내비친 것으로 해석된다.
문제는 당의 이 같은 움직임이 전북 정치권의 평소 생각과는 괴리감이 있다는 점이다.
그동안 전북 국회의원들은 ‘국민의당은 자유한국당 등 보수진영의 야당들과는 다른 입장을 견지해야 한다’는데 공감대를 형성하고 있었다. 일부 야권에서 보이는 반대를 위한 반대가 아니라 사안에 따라 대처 방안을 달리해야 한다는 것이다.
실제 이날 의원총회에서는 정동영 의원(전주병)과 유성엽 의원(정읍·고창)이 이 같은 취지의 발언을 한 것으로 전해졌다.
특히 국회 교육문화체육관광위원회 위원장을 맡고 있는 유 의원의 경우 김상곤 교육부 장관 후보자 인사청문회 진행을 위한 상임위 개최부터 반대하는 것은 적절치 못하다고 지적했지만 지도부는 냉담한 반응을 보였다는 후문이다.
전북 정치권의 이 같은 행보는 대선 이후 지역 여론이 급속도로 악화되는 상황에서 새 정부에 대한 무조건적인 발목잡기로 비춰질 경우 향후 지역 내 주도권 경쟁에서 어려움을 겪을 수 있다는 점을 의식한 것으로 분석된다.
전북 정치권의 한 관계자는 “전북 등 호남지역 의원들과 지도부, 수도권 초선 비례 의원들 간의 생각의 차이가 너무 큰 것 같다”며 “야당으로서 정부에 각을 세우는 것은 맞지만 반대만을 위한 반대는 전북 정치권과 국민의당 모두에게 좋지 않은 상황을 야기할 것”이라고 우려했다.
한편 국민의당은 이날 의총에서 김현미 국토교통부 장관 후보자의 인사 청문 심사경과보고서 채택에는 협조한다는 방침을 정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