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익두 교수 "한국 공연문화의 민족공연학적 지평" 펴내

한국 공연문화 깊이있는 탐구

 

한국 공연문화 연구에 매진해 온 전북대 국어국문학과 김익두 교수가 <한국 공연문화의 민족공연학적 지평> (전북대 출판문화원)을 펴냈다. 2013년 발간된 <한국 민족공연학> (지식산업사)의 후속 연구서다. 이 책은 1부 방법론, 2부 양식론, 3부 축제론, 4부 연극론, 5부 판소리론, 6부 공연이론, 7부 공연학적 비전 등 7부 13장으로 구성했다. 논문 13편도 실려 있다. 한국 공연문화 전반에 관한 깊이 있는 연구 역량이 돋보인다.

 

구체적으로 그가 연구 방법으로 주창해온 민족공연학을 비롯해 조희·우희, 무주 낙화놀이, 전주 풍남제, 제주 무당굿 심방놀이, 한국 전통극 마임, 판소리 등을 폭넓게 탐구하고 있다. 특히 12장과 13장은 민족공연학 관점에서 21세기 세계연극의 새로운 비전으로 ‘비추어보기’와 ‘관계 탐구’의 융합을 제시한다.

 

김 교수는 20세기까지의 세계 연극이 비추어보기에 지나치게 집중하면서 인간·사물·사회와의 관계 탐구 문제를 소홀히 했다고 말한다. 그 결과 인류 연극 방향이 ‘소외적인 양식’으로 기울어졌다고 판단했다. 그리고 비추어보기와 관계 탐구의 대표적인 융합 사례는 우리나라 전통 연극 양식인 탈놀음, 꼭두각시놀음, 판소리 등이라고 설명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