열흘간의 '무대 공연작품' 진수성찬

국악, 음악, 무용, 연극 등 / 도내 18개 단체 페스티벌 / 7월1일부터 소리전당서

 

국악, 음악, 무용, 연극 등 전북지역 18개 단체가 열흘간 무대 공연작품을 하나하나 풀어낸다. 7월 1일부터 10일까지 열흘간 한국소리문화의전당 모악당·연지홀·명인홀에서 개최하는 ‘무대 공연작품 페스티벌’.

 

이는 전북문화관광재단 ‘2017 무대공연작품 제작지원사업’을 수행하는 단체가 무대공연작품을 통합·발표하는 자리다. 무대 공연작품 제작 지원사업은 국악, 음악, 무용, 연극 등 무대 공연작품 제작·발표하는 데 필요한 경비(1000~3000만 원)를 제공하는 사업이다. 올해 18개 단체 3억 4500만 원을 투입했다.

 

그동안 단체별로 시기와 장소를 달리해 무대 공연작품을 발표했지만, 올해는 ‘무대 공연작품 페스티벌’ 형식으로 시기와 장소를 특정해 단체별 작품을 공연하게 했다. 각 단체 무대 공연작품 비교·관람을 통해 관객의 관심과 참여를 높인다는 의도다.

이와 관련해 한국소리문화의전당은 페스티벌 기간 공연장 대관료 중 기본시설 사용료를 면제해준다. 전주세계소리축제조직위원회는 무대 공연작품 가운데 1개 이상을 전주세계소리축제에 초청할 예정이다. 전북문화관광재단은 올해 내 재공연을 조건으로 우수 무대 공연작품 2개를 선정해 각각 2000만 원, 1500만 원을 지원할 계획이다. 객석 점유율과 전문가 평가, 관객 호응도, 단체별 성과 발표 등의 항목을 비교·평가한다.

 

국악 분야는 제이유창극발전소의 판소리극 ‘모돌전’, 문화예술공작소의 판소리극 ‘화용도’, 얘기보따리의 소리극 ‘달릉개’ 등이다. 모돌전은 고려 무신정권 암흑기 모악산과 금산사를 배경으로 광기와 욕망에 사로잡힌 인간 군상을 파헤친다. 화용도는 적벽가 중 군사설움타령 장면을 재구성해 전쟁을 앞둔 병사의 심리를 다양하게 묘사한다. 달릉개는 부채 장수 달릉개가 떠돌이 명창과 서예가 창암 이삼만, 박진 효자비, 남문시장 상인 등을 만나면서 소리의 참 의미를 깨닫고 진정한 소리꾼이 된다는 이야기.

 

또 음악 분야는 가온스토리클래식의 ‘빈 아파트에 사는 빈 악파들’, 전주오페라단의 음악시트콤 오페라 ‘아찔한 프러포즈’, 뮤직씨어터슈바빙의 오페라 ‘나비부인’ 등을 선보인다. 가온스토리클래식은 ‘빈 악파’(베토벤, 모차르트, 하이든) 삼총사가 전 세계의 ‘빈 아파트’를 돌아다니면서 생전에 못다 한 음악을 한다는 발상에서 출발한다.

 

무용 분야는 애미아트의 ‘실크로드 위대한 여정-백제 아리랑’, 산조전통무용단의 ‘맘 그리운 날에’ 등이다. 애미아트는 백제의 이미지를 춤으로 승화하고, 산조전통무용단은 어머니의 사랑을 모노드라마로 녹여냈다. 연극 분야는 황토레퍼토리컴퍼니의 ‘천년의 달’, 극단 하늘의 ‘웨딩 해프닝’ 등이다. 천년의 달은 후백제 견훤의 인간적인 아픔과 가족사의 비극 그리고 해원상생(원한을 풀고 서로 잘 산다)의 철학을 형상화한 작품이다. 웨딩 해프닝은 놀부, 뺑덕어멈, 팥쥐 등 고전문학 속 인물을 중심으로 권선징악을 그린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