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북 '귀농·귀촌 1번지' 헛구호에 그쳐

작년 귀농 9.8·귀촌 4.9% / 인구비율 전국 최하위권 / 자치단체 홍보와 큰 차이

 

농림축산식품부와 통계청 조사결과 귀농·귀촌 1번지를 표방하는 전북지역의 귀농·귀촌 가구비율이 오히려 타 지역보다 저조한 것으로 나타났다.

 

29일 통계청이 발표한 ‘2016년 기준 귀농어·귀촌인 통계’결과에 따르면 지난해 기준으로 전북지역 귀농가구는 1263가구로 전국 귀농가구의 9.8%, 귀촌가구는 1만5672가구로 4.9%를 차지한 것으로 집계됐다.

 

이 기간 동안 전북지역에 터를 잡은 귀촌인 인구는 1만7099명으로 전년보다 1016명 감소했다.

 

전북의 귀농·귀촌 인구 구성비는 광역시를 제외하고 강원(8.2%)과 충북(8.2%)에 이어 전국에서 세 번째로 낮았다. 전국적으로 귀농·귀촌 인구 구성비가 가장 높은 지역은 귀농은 경북 18.0 % , 귀촌은 경기 26.5%로 나타났다.

 

이번 통계결과는 전북지역이 귀농귀촌의 모범모델로 부상하고 있다는 전북도와 도내 각 지자체의 홍보와는 큰 차이를 보이고 있다. 귀농은 도시에서 다른 일을 하던 사람이 농촌으로 돌아와 농업을 중심으로 정착하는 것을 뜻하며, 귀촌은 더 넓은 범위에서 농촌에서 생활하는 것을 의미한다. 귀농·귀촌인으로 인정받으려면 농촌지역에서 1년 이상 거주해야 하며, 귀농의 경우 농업경영체등록명부, 농지원부, 축산업등록명부에 등록이 필요하다.

 

도내 지자체의 인식과 실제 통계와의 괴리가 생긴 원인으로는 전북 농촌에 1년 이상 터를 잡고 생활하는 귀농·귀촌 인구가 적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제2의 인생을 꿈꾸는 귀농·귀촌인들이 원주민과의 잦은 갈등과 현실적 한계에 부딪히면서 정착을 하지 못한 채, 다시 전북을 떠나고 있는 것이다. 실제 전북의 한 마을은 ‘귀농·귀촌을 받지 않는다’란 현수막을 내건 적도 있다.

 

농식품부는 자료를 통해 2030청년세대와 5060세대에 각각 차별화된 지원정책을 추진할 필요성이 있다고 밝혔다.

 

20~30대에게는 전문기술 교육확대와 영농창업 정보제공, 50~60대에게는 안정적인 정착을 유도해야 한다는 게 정부 입장이다.

 

농식품부 농촌정책과 관계자는“농촌지역 지자체들은 어렵게 유치한 귀농인구들이 떠나지 않도록 해야 한다”며“정기적인 애로사항 청취는 물론이고 이들과 원주민의 화합을 도모할 수 있는 대책이 요구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