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공예 도시 전주, '장인의 도시'로 ② 발전 방향] 명장, 도시 브랜드로 키워야

중장기적 정책 마련·전수 교육관 건립해야

▲ 지난 5월 열린 ‘전주 굿(Good) 솜씨 마당’에서 고수환 전북도 무형문화재 악기장이 시연 행사를 펼치고 있다.

전문가들은 무형문화유산의 전승·발전을 위해서는 자치단체에서 중장기 종합계획을 수립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또 장인들은 개인 또는 공동으로 작업과 시연 및 교육, 전시 등을 할 수 있는 전수관 건립 및 판로 확보를 최우선 과제로 꼽았다. 이를 바탕으로 장인, 즉 사람을 브랜드로 키워야 한다는 지적이다. 명장을 대우해주고, 명장이 만드는 하나뿐인 수공예품의 제작 과정을 알게 되면 시민들은 자연스럽게 그 가치를 깨닫게 된다.

 

△무형문화재 중장기 종합계획 수립

 

전문가들은 정책·제도를 수립해 체계적이고 전문적인 관리·육성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큰 틀 안에서 공간 연계·활용, 장인 육성·지원, 시장 개척 등이 종합적으로 이뤄져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무형문화재 현황 파악이 우선돼야 한다. 함한희 전북대 무형문화연구소장(전북대 고고문화인류학과 교수)은 “문화 사업이 많은 만큼 행정가들이 스스로 전문화 돼 있다고 생각하는 경향이 있는데 행정만으로는 연구기능이 없다시피 하다”며 “지역의 무형유산 연구기관이나 전문가들에게 자문을 구해 세부화해야 한다”고 말했다.

 

무형유산 관련 문화 시설은 종합계획 아래 통합 관리하고 목적과 역할을 나눠야 한다. 시설 유지를 위해 프로그램을 돌려서는 안 된다. 시설의 기능에 충실하되 사람을 중심으로 사업을 기획해야 한다.

 

△전수관-장인 활동 공간 마련

 

현재 전주에는 무형문화재 전수교육관이 한 곳도 없다.

 

전수관은 자치단체가 문화재청에 신청해 예산지원을 받아 5대 5 매칭으로 짓거나, 지방비 100%로 짓는다. 문화재청에 따르면 전국의 국가무형문화재 전수관은 총 153개. 국가 예산 없이 지방비로만 지은 곳도 46개소로 전체의 3분의 1 가량이다.

 

문화재청 관계자는 “전수관 건립은 자치단체의 무형문화유산 활성화 의지를 단적으로 보여주는 것”이라며 “국가무형문화재를 포함해 가장 많은 무형문화재를 보유한 도시에 전수관이 하나도 없는 것은 의아한 일”이라고 말했다.

 

무형문화재들은 “사람들에게 노출되는 것이 중요한데 개별 작업실은 흩어져 있어 방문하기 어렵고, 시연행사는 단발적”이라면서 “장인을 모아낸 거점 공간을 조성해 전주 관광코스로 연계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단, ‘시설 늘리기’가 아니라 실질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기능분야별 특성을 고려해 작업 환경을 구축해야 한다.

 

△장인을 도시 브랜드로 키워야

 

가격 경쟁에선 수공예품이 저렴한 대량 공장 생산품을 이길 수 없다. 수공예품이 경쟁력을 가지려면 이를 만든 과정과 장인의 가치를 알아야 한다. 명장을 대우해주고 사람을 브랜드로 키워야 하는 이유다.

 

무형문화재 전수관(활동 공간)이 필요한 이유도 같은 맥락이다. 사람들에게 작업실을 공개하고 한 땀 한 땀 공예품이 만들어지는 과정을 설명해야 공예품 가격이 상대적으로 높은 이유를 이해할 수 있다.

 

또 수백 년간 대를 이어온 역사를 강조해야 한다. 조충익 전북도 무형문화재 선자장은 “두루뭉술하게 전주 한지, 부채가 아니라 장인의 이력과 공예품의 특성을 부각시켜 품격을 높여야 한다”면서 “ ‘장인 정신’의 산물을 소유하는 것에 자부심을 갖게 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향미 전주부채문화관장은 “ ‘핸드메이드 시티’는 궁극적으로 사람을 통해서 명맥이 유지된다”면서 “전통문화 가치를 후대에 전하고 장인을 키워내는 노력도 지속돼야 한다”고 말했다. <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