군산 연이은 악재 겹쳐 지역 민심 '뒤숭숭'

AI 발생·현대重 군산조선소 가동 중단에 이어 한국GM 철수설·전북대병원 건립 무산론까지 / 지역정치권 현안 뒷전 당파싸움에 시민들 눈총

▲ 한국GM 군산공장.

군산경제의 위기 신호가 곳곳에서 드러나면서 시민들이 불안감을 감추지 못하고 있다.

 

때아닌 AI 발생에 이어 현대중공업 군산조선소 가동 중단이 현실화된 상황에서, 한국GM 군산공장 철수설과 최근에는 군산 전북대병원 건립 타당성 재조사를 두고 ‘건립 무산론’까지 확산되는 등 악재가 겹치고 있기 때문이다.

 

지난 1일 현대중공업이 군산조선소를 폐쇄함으로써 근로자의 대량실직과 협력업체 줄도산, 인구 감소 등의 우려가 현실화됐다.

 

군산 수출의 24%를 차지하며 지역 경제를 이끌어온 조선업이 무너지면서 군산 경제는 심각한 타격이 불가피한 상황을 맞게 됐다. 한때 5250명의 근로자로 북적이던 군산조선소에는 설비와 공장 유지보수를 담당하는 최소 인력 50여 명만 남고 이달 중으로 모두 공장을 떠난다. 86곳에 달했던 협력업체는 35곳으로 절반 이상 줄었으며 남은 협력사도 생존 여부가 불투명한 상황이지만, 군산조선소 존치를 위한 정부의 지원은 요원한 실정이다.

 

한국GM의 분위기도 심상치 않다.

 

지난달부터 일부 언론을 통해 ‘한국GM 군산공장 철수설’이 흘러나오고 있기 때문이다.

 

한국GM 측은 군산공장 철수는 낭설에 불과하다며 선을 긋고 있지만, 시민들의 불안감은 들불처럼 번지고 있다. 그동안 GM이 한국시장에서 철수하고 싶어도 17.02%의 지분을 보유한 산업은행이 GM의 중대 결정에 반대할 수 있는 ‘거부권’을 가져 안전장치가 됐지만, 오는 10월이면 산업은행이 보유한 특별결의 보유권 계약이 만료된다.

 

더욱이 산업은행은 15% 이상 보유한 비금융 출자회사를 3년 내 매각하라는 금융위의 권고에 따라 지난해부터 보유지분을 매각 중이다.

 

본지와 전화통화에서 산업은행 관계자는 “금융위 권고에 따라 지난해 말부터 15%이상 대상이 되는 주식을 매각하고 있다”면서 “대상에는 한국GM의 주식도 포함돼 있다”고 말했다. 이어 “한국GM은 여러 가지 여건이 복잡해 매각 검토는 아니지만 여건은 지켜보고 있다”며 “현재 뚜렷한 방향이 정해진 것은 없다”고 밝혔다.

 

일각에서는 최근 제임스 김 한국GM 사장이 공식 임기를 채우지 못하고 사임한 것을 두고 GM이 한국 생산 공장의 구조조정을 염두에 둔 것이라는 추측도 나오고 있다.

▲ 현대중공업 군산조선소.

이에 군산시와 정치권은 ‘제2의 군산조선소’ 사태가 발생하지 않도록 한국GM의 행보에 모든 행정력을 집중해야 한다는 지적이다.

 

엎친 데 덮친 격으로 군산시민의 숙원사업인 군산 전북대병원 건립마저 차질이 우려되고 있다. 최근 전북대병원이 군산 전북대병원 건립에 대한 타당성 재조사 용역을 시행하면서 ‘건립 무산론’이 확산하고 있기 때문이다.

 

시민들은 “군산 전북대병원 건립은 지역민의 숙원사업이며 확정된 사업으로, 현시점에서 타당성 재조사를 시행한다는 것은 이해할 수 없는 절차”라며 반발하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군산시의회는 예결위원장선출 등을 두고 당파 간 갈등만 보이고 있어 이를 바라보는 시민들은 속만 태우고 있다. 시민 김성민 씨(40)는 “최근 군산지역 경제가 초토화되고 있는 것 같다”면서 “시내 어느 곳에서도 활기를 찾아보기 힘들고 만나는 사람마다 경기침체에 대한 걱정뿐이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