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은행, 한국GM 지분 매각 중단을"

노조 대책위원회 발족 / 본사 철수 방어책 촉구

한국GM 노동자들이 산업은행이 보유한 한국GM 지분의 매각 중단 및 GM과 산업은행간의 새로운 장기발전 기본협약 체결을 촉구하고 나섰다.

 

한국GM의 경영 사정이 악화되면서 GM 본사가 한국시장에서 철수할 수 있는 가능성에 대비한 방어책을 마련하자는 것이다.

 

한국GM 노조 ‘한국지엠 30만 노동자 일자리 지키기 대책위원회’와 ‘산업은행의 정부지분 매각저지 대책위원회’는 12일 국회 정론관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지난 2010년 산업은행과 GM이 맺은 추가협약(GM대우 장기발전 기본합의서)에 따라 산업은행이 보유한 지분 17.02%로 특별결의 거부권이 가능하도록 협약한 바 있다”며 “그러나 협약기간이 오는 10월 16일 만료되면서 비토권(GM의 경영적 중대 결정에 반대할 수 있는 거부권)이 상실된다”고 밝혔다.

 

대책위는 이어 “이런 엄중한 상황에서 산업은행 지분마저 매각한다면 GM의 한국시장 철수가 가능해지는 상황이며, GM에 대한 어떠한 견제 장치도 없고 대책도 없는 상황”이라며 “정부는 30만 노동자들이 고용불안의 절벽으로 내몰리지 않도록 GM과 장기적 발전 전망이 담긴 구체적 실천방안의 새로운 협약 체결에 적극 나서야 한다”고 촉구했다.

 

특히 “산업은행이 보유한 한국GM의 지분 17.02%를 매각하지 말아야 한다”며 “글로벌 지엠이 장기적 발전 전망을 제시한다면 노조는 인건비 상승 완화 등 비용절감을 위해 최선의 노력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대책위는 “GM의 수익구조개편 전략에 따른 구조조정과 물량감소로 한국GM 1만5000명의 노동자는 물론, 30만 협력업체 노동자와 가족들의 생존권이 불안한 상황에 내몰리고 있다”며 “한국GM 노조는 금속노조와 민주노총을 비롯한 각계 각층과 대책위를 구성해 30만 노동자들의 고용을 지키기 위해 문재인 정부가 책임있게 나설 것을 촉구하는 활동을 전개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한국GM 노조는 지난 7일 진행된 쟁의행위 찬반투표에서 79.49%의 찬성으로 파업을 가결한 뒤 ‘한국지엠 30만 노동자 일자리 지키기’ 대책위원회와 ‘산업은행의 정부지분 매각저지’ 대책위원회를 구성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