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북대병원이 군산분원을 건립을 추진하는 데 박근혜 정부가 방해했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최인정 전북도의원(국민의당, 군산시 제3선거구)은 지난 21일 전북대병원 ‘제116차 정기이사회 회의록’을 공개한 뒤, “지난 2월에 결정된 ‘군산 전북대병원 타당성 재조사 연구용역’은 박근혜 전 정권이 개입된 것으로 판단된다”고 주장했다.
최 의원이 공개한 회의록을 살펴보면, 전북대병원 감사인 A씨는 군산지역의 경제상황이 최근 악화되고 있으며, 이에 따라 향후 군산전북대병원을 건립할 때 본원에 재정적 어려움이 발생할 우려가 있다며 재검토를 거듭 주장한다.
이에 다른 이사진들이 정식안건도 아니고 이사장도 결원상태기 때문에 다음에 논의하자고 했지만, A씨는 거듭해서 논의를 촉구했다.
결국 이날 사회자에 의해 연구과제로 추진하자는 방침이 정해졌고, 자세한 사항은 다음 이사회에서 논의하기로 결정됐다. 그러나 연구용역은 추후 이사회를 거치지 않은 채 실시된 것으로 나타났다.
최 의원은 이를 두고 A씨가 박근혜 정부와 관련된 인사기 때문에 벌어진 일이라고 주장했다. 그는“A씨는 새누리당(현 자유한국당) 중앙당이 추천해서 감사가 된 인물로 알려졌다”며 “당시 박근혜 정권에서 암암리에 A씨에게 정치적 입김을 작용한 것으로 보인다”고 주장했다. 이어 “이미 KDI한국개발연구원과 엘리오&컴퍼니, 이정 회계법인에서 경제성 평과와 의료 수요 편익분석까지 끝난 상태여서 굳이 다시 연구용역을 할 필요도 없었다”고 덧붙였다.
또 전북대병원 이사로 참여하고 있는 김일재 부지사와 이사장이 없는 틈을 타서 연구용역을 한 점도 의문이라고 했다. 그는 “부지사가 참석했다면 분명이 이의를 제기했을 것”이라며 “이사진이 전부 참석하지 않은 상황에서 재검토를 의뢰했다는 것은 의도가 있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최 의원은 “군산 전북대병원에 대한 경제성 평가는 박근혜 정권 말기에 온 압력에 굴복한 처사라고 밖에 볼 수 없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