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부가 서울시립대와 삼육대에서 각각 제출한 학교법인 서남학원 정상화 계획서를 최근 반려(불수용)하면서 사실상 서남대 퇴출을 결정한 가운데 서남대 교수협의회가 교육부 행정에 대해 문제를 제기했다.
서남대 교수협의회는 6일 “서울시립대와 삼육대가 정상화 계획을 제대로 세우지 못한 데에는 교육부의 미숙한 행정처리와 비리재단을 옹호하는 교육부의 잘못된 관행에 원인이 있다”고 주장했다.
앞서 교육부는 서울시립대·삼육대에서 제출한 서남대 정상화 계획서를 반려하면서 ‘재정기여도 없이 의대 유치에만 주된 관심을 보였고, 비리 관계자 등이 서남학원으로 복귀해 아산캠퍼스를 운영할 빌미를 제공할 수 있다’는 이유를 들었다.
이에 대해 교수협의회는 “교육부가 재정기여자에게 종전 이사(옛 재단)의 동의를 필수 요건으로 제시했다”면서 “이에 따라 서울시립대와 삼육대는 종전 이사의 대학 정상화 계획을 고려할 수밖에 없는 상황에서 남원과 아산캠퍼스를 아우르는 계획을 세우지 못했다”고 밝혔다. 교육부가 서남대 아산캠퍼스 운영권을 종전 이사에게 부여하는 방안을 추진했고, 서울시립대와 삼육대는 종전 이사의 동의를 받기 위해 남원캠퍼스 중심의 정상화 계획을 수립할 수밖에 없었다는 설명이다.
교수협의회는 “지금이라도 교육부는 ‘종전 이사의 동의가 없어도 된다는 점’을 명백히 밝히고, 서울시립대·삼육대 등에 서남대 정상화 방안을 수정할 기회를 주는 것이 마땅하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