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5일 통계청에 따르면 2015년 주택을 2건 이상 보유한 다주택자는 187만9000명으로 전년보다 15만8000명(9.2%) 증가했다.
다주택자는 관련 통계가 집계되기 시작한 2012년 이래 매년 꾸준히 늘었다.
2012년 163만2000명이던 2건 이상 주택 보유자는 2013년 전년 대비 6만2000명(3.8%) 늘었고 2014년에는 2만7000명(1.6%) 증가하더니 2015년에는 15만8000명(9.2%)으로 증가 폭을 키웠다.
2012년과 견주면 2015년 다주택자는 모두 24만7000명(15.1%) 늘어났다.
3주택 이상 보유자도 증가세를 보였다.
2015년 주택을 3건 이상 보유한 다주택자는 전년보다 8만6000명(28.1%) 증가한 39만2000명으로 집계됐다.
3건 이상 다주택자는 2012년 33만1000명에서 2013년 33만9000명으로 소폭 늘어났다가 2014년 30만6000명으로 감소했다.
그러나 기저효과 영향까지 겹쳐 2015년 들어 급증했다.
3건 이상 다주택자는 2012∼2015년 사이 6만1000명(18.4%) 증가했다.
주택 보유자 중 다주택자 비중도 커졌다.
2건 이상 다주택자는 2012년 13.6%에서 2015년 14.4%로 0.8%포인트 확대됐다.
3건 이상 주택을 보유한 사람은 2.8%에서 3.0%로 0.2%포인트 상승했다.
주택을 아파트로 좁혀봐도 비슷한 흐름이 나타난다.
2015년 아파트 2건 이상 보유자는 69만5천명으로, 2012년 대비 13만5000명(24.1%) 증가했다.
아파트 3건 이상 보유자는 3만명(44.8%) 증가한 9만7000명으로 집계됐다. 다주택자가 늘어난 것은 저금리 때문에 마땅한 투자처를 찾지 못한 자금이 주택시장으로 흘러들어온 탓으로 분석된다.
부동산 경기를 부양하는 데 부동산 정책의 초점을 맞춘 이전 정부 탓도 있다.
박근혜 정부 때는 담보인정비율(LTV), 총부채상환비율(DTI) 규제를 완화하는 등 세제·주택규제 완화 정책을 지속해서 폈다.
김수현 청와대 사회수석은 8·2 부동산대책을 발표한 하루 뒤인 지난 3일 “지난3∼4년간 ‘초이노믹스’ 등으로 ‘빚내서라도 집을 사라’는 메시지와 부추김이 있었음을 인정해야 한다”며 “10년에 걸쳐 두 정부(이명박·박근혜 정부)는 참여정부가 만든 규제와 부동산 시장의 질서를 완화하는 정책을 폈다”고 언급하며 부동산 가격 상승에 이전 정부의 책임이 있다고 꼬집기도 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