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심 속도 하향조정 5030 추진’을 위한 교통안전 대토론회] "도심 제한속도 낮추면 교통사고 급감"

전주 토론회서 시속 50~30㎞대 하향 효과 제시 / 국토부 '5030' 정책 서울·부산서 적극 추진

전주도심 교통사고 다발지역을 중심으로 차량제한속도를 30∼50㎞/h로 낮추는 것을 논의하는 자리가 마련됐다.

 

국토교통부와 경찰청, 전주시는 29일 전주시자원봉사센터에서 도심 내 차량제한속도를 30~50㎞/h로 하향조정하는 것을 골자로 한 ‘도심 속도 하향조정 5030 추진’을 위한 교통안전 대토론회를 열었다.

 

이날 발제에 나선 김민우 교통안전공단 교통안전연구처 연구원은 “최근 3년 간 전주시 교통사고 사상자 중 절반에 가까운 이들이 보행자사고였다”며 “보행사고 다발지점을 시작으로 도심 제한속도를 낮출 필요가 있다”고 제언했다.

 

김 연구원의 자료에 따르면 전주시 보행사고가 많이 발생한 지역은 기린대로(6곳, 제한속도 60㎞/h), 팔달로(5곳, 50㎞/h), 용머리로(3곳, 50㎞/h), 모악로(2곳, 60㎞/h) 등이다. 이는 지난 3년간 반경 50m 이내 보행자 사고가 2건이상 발생한 지점을 종합한 결과다.

 

김 연구원은 “도심지역 최고 제한속도를 50㎞/h이하로 설정하면 전국적으로 연간 400명의 사망자가 감소될 것”이라며 “덴마크나 네덜란드에서도 도심제한속도를 10㎞/h 낮춘 뒤 사망사고가 현저히 감소했다”고 밝혔다.

 

임채홍 삼성교통문화연구소 연구원도 “국내에서 도심 제한속도를 50㎞/h로 낮추면 운전자의 시야각이 넓어져 교통사고건수가 15.6%, 사상자수는 44.6%가 감소하고, 30㎞/h시에는 교통사고건수가 20.6%, 사상자수는 34.4%가 감소하는 효과가 있었다”고 당위성을 설명했다.

 

국토교통부는 ‘도심 속도 하향조정 5030’을 통해 도심 제한속도 낮추기 정책을 추진중이며, 지난 6월 제주를 시작으로 수원 고양 천안 전주 창원 등 주요 10개 도시를 돌며 토론회를 진행 중이다.

 

서울과 부산 등 광역시는 지난해 세미나를 연 후 도심 제한속도를 줄이는 방안을 추진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