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주시가 원도심을 대상으로 무료 무선 네트워크 조성 등 첨단 정보통신기술(ICT)을 접목한 스마트 시티 구현에 나선다.
전주시는 지속성장이 가능하고 사람의 가치와 삶의 질이 존중받는 ‘스마트시티’를 조성할 계획이라고 19일 밝혔다.
4차 산업혁명 시대를 선도하는 대표 브랜드인 스마트시티는 교통과 보건, 안전, 에너지관리 등 도시의 핵심기능이 사람 손을 빌리지 않고도 ICT기술을 활용해 스스로 상호작용하면서 도시문제를 해결하는 최첨단 도시를 말한다. 이미 미국, 유럽, 일본 등 전 세계에서 130여 개 이상의 관련 프로젝트가 추진되고 있다.
시는 우선 전주정보문화산업진흥원 내 (주)고백기술과 협력해 테스트베드를 구축하고, 원도심 지역에 확산·적용할 수 있는 전주형 스마트시티 실증모델 및 서비스모델을 개발하고 있다. 주요 사업은 스마트가로등과 스마트 주차와 출입관제, 스마트 에너지 관리, 무선네트워크존 구축, 통합관제플랫폼 ‘Argos’ 개발 등이다.
시는 향후 실증사업 결과를 토대로 아시아문화심장터로 조성되는 원도심의 교통과 환경, 에너지 등 도시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사업화 모델을 발굴하고, 사업추진을 위한 국가예산을 적극 확보해 전통과 첨단이 함께하는 스마트시티 기반을 조성할 계획이다.
최은자 전주시 신성장산업본부장은 “전주시는 앞으로 원도심 지역을 중심으로 한 스마트시티 구축으로 신도심과의 시설 인프라 및 제공서비스의 격차를 줄이고 시민 삶의 질을 향상시킬 것”이라며 “전주만의 차별화된 스마트시티 경쟁력이 갖춰질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