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불어민주당 전북지역 권리당원 수가 역대 최고치를 기록할 것으로 추산되면서 치열한 공천경쟁을 예고하고 있다. 권리당원의 급격한 증가는 ‘권리당원 50%+국민경선 50%’의 기본 공천방식에서 유리한 고지를 선점하기 위한 입지자들의 치열한 경쟁에서 비롯됐기 때문이다.
민주당은 내년 지방선거에서 경선투표에 참여할 권리당원의 인정 기준점을 9월 30일로 정하고 내년 3월 31일 이전에 당비를 6회 이상 납부한 당원에게 공천권을 부여하기로 했다. 이 때문에 전북지역에서는 올 하반기부터 각 입지자들의 권리당원 모집 전쟁이 치러지고 있다. 실제 경선에서 투표권을 가질 수 있는 시한(30일)을 열흘 앞둔 20일 현재, 전북지역 권리당원 수는 기존 권리당원에 신규로 입력이 완료된 수를 포함해 10만 여명에 달한다. 여기에 현재 7만 여장 정도의 입당원서가 입력 대기 중인 상태다.
입력 작업이 마무리되면 내년 지방선거에서 공천 경선에서 투표권을 갖게 될 권리당원은 많게는 17만 여명에 달할 것으로 예상된다. 그러나 중복 가입자들이 적지 않아 최종 권리당원 수는 15만 여명이 될 것으로 보인다.
전북도당의 한 관계자는 “열린우리당 시절 전북 권리당원이 12만 명이었던 적이 있다. 이번에는 그 보다 더 많다. 아마도 역대 최고 권리당원 수를 기록할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민주당 권리당원 수가 이처럼 급증한 것은 현역의원이 7명이나 있는 국민의당 호남 지지율이 10%를 밑도는 가운데 좀처럼 상승 기류가 보이지 않는 것이 한 원인으로 분석된다.
‘민주당 공천=당선’이라는 공식이 재현될 가능성이 높아진 상황에서 당선 확률이 높은 민주당의 공천을 받기 위해 입지자들이 몰린 것도 이유로 보인다.
실제 정확한 데이터가 집계된 것은 아니지만 권리당원 접수현황을 보면 3선 연임 제한으로 현역 단체장이 출마하지 못하는 지역과 민주당 소속이 아닌 국민의당 또는 무소속 단체장 지역의 권리당원 수 증가가 눈에 띤다는 게 전북도당 관계자의 설명이다.
정치권의 한 관계자는 “민주당 경선룰이 권리당원과 일반국민 여론조사로 진행되는데 이럴 경우 권리당원을 많이 모집한 입지자가 유리한 고지를 점할 수밖에 없다”며 “권리당원이 이처럼 급증한 것은 이 같은 상황을 그대로 보여주는 것이며, 공천과정이 그 만큼 치열할 수밖에 없다는 반증”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