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즘 역사적인 사실을 소재로 한 다큐멘터리 영화들이 팬들에게 인기리에 다가서고 있다. 일제 때 왜놈들에게 정신대로 잡혀간 조선여성들이 겪었던 처절한 아픔과 고통을 영화화한 <군함도> 와 1980년대 신군부가 10·26 사태 이후 정권을 탈환할 목적으로 광주 시민들의 민주화운동을 공산세력으로 공작하여 수천 명을 무참하게 살육했던 5·18 광주민주화운동의 <택시운전사> 가 그것이다. 택시운전사> 군함도>
<택시운전사> 는 1980년 5월, 독일 제1공영방송국 위르겐 힌츠페터(Jurgen Hinzpeter 1937-2016)기자가 도쿄지국에 근무하던 중 전두환, 노태우 등이 일으킨 광주민주화운동현장의 참상을 촬영한 필름을 독일 함부르크 뉴스센터에 전함으로써 같은 해 9월 ‘기로(岐路)에 선 한국’이라는 제목으로 최초로 전 세계에 보도된 실화를 바탕으로 한 영화다. 택시운전사>
적군도 아닌 국군의 총에 맞아 처절하게 죽어가는 시민들의 아우성과 총알이 빗발치는 현장에서 죽음을 무릅쓴 기자의 직업적 열정도 무한한 감동이었다. 그 무엇보다 과자를 넣은 금속캔에 촬영필름을 위장포장하여 본사로 보내기 위한 쫓고 쫓기는 장면은 정말 숨 막히는 스릴의 연속이었다.
그런 전두환이 최근 <전두환 회고록> 을 출간하였다. 법원은 ‘표현의 자유 한계를 초과하여 5·18민주화운동의 성격을 왜곡, 관련 집단과 참가자들을 비하함으로써 사회적 가치평가를 저해했다고 판단, 판매와 배포금지처분’을 내렸다. 전두환>
검찰도 미납추징금 특별환수팀을 조직하고 <전두환 회고록> 을 발간한 출판사를 상대로 인세채권에 대한 압류와 추심명령을 법원에 신청, 인정을 받았다. 전두환>
결국 전두환은 1997년 대법원에서 무기징역, 추징금 2205억원 선고를 받았으나, 1151억만 납부한 후, 이젠 재산이란 ‘지갑에 있는 29만원 밖에 없다’라는 희학(戱謔)적인 어록을 남긴 자로 더 유명하다. 장기독재정권이 끝나고 ‘3김’으로 촉발된 참 민주주의의 꽃봉오리가 채 피기도 전에 전두환 등 신군부에 의한 엄동설한 속에 나라가 꽁꽁 얼어붙었다.
그래서 영국의 <더 타임즈> 는 ‘한국에서 민주주의를 바란다는 건 전봇대에서 장미꽃 피기를 기다리는 것과 같은 것’이라 비하한 적도 있었다. 더>
하지만 4·19혁명 21주년을 맞은 1981년 4월 20일자 <동아일보> 는 ‘우리는 4·19를 놓고 혹자는 혁명이라고 하고, 혹자는 의거라고도 한다며 착잡한 감회의 교차를 느끼지 않을 수 없다’라 술회하였다. 동아일보>
그러다가 노태우정권 때 국민들의 목숨을 건 민주화의 봇물에 밀려 전두환의 통일주체 국민 대의원제의 대통령선출방식이 폐기되고, 마침내 대통령 직선제로 복원되었다. 그리고 세계가 경탄했던 한국인들의 촛불시위로 국정농단의 정부가 막을 내렸고, 지난 5월 19대 새 대통령이 선출되어 나라다운 나라로 이어지고 있다.
37년 전 5·18 때 아버지를 잃은 딸 김소형이 아버지보다 많은 나이에 들어 ‘하늘에 계신 아버지께 드리는 편지’를 낭독하며 눈물을 흘리자, 같이 눈물을 쏟던 문대통령이 나아가 퇴장하던 유족을 포옹하며 위로하는 모습이 어제런 듯 생생한 잔영으로 맴돌아든다. 정녕 우리나라는 이 세상 그 어떤 잔혹 무도한 압제로도 도도한 민주의 강물은 막을 수 없나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