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주 탄소산업단지 예비타당성평가 통과 내년부터 사업 착수

2100억원 대 전주탄소소재 국가산업단지(전주탄소산단) 조성이 이르면 내년부터 시작된다.

 

28일 전주시에 따르면 한국개발연구원(KDI)은 전주탄소산단 조성사업 추진을 위한 최종 관문인 예비타당성조사 종합평가(AHP)에서 통과 기준치인 0.5를 넘어선 0.582로 평가했다. 정부가 전주탄소산단 조성사업의 목적이 타당하고 사업의 경제성이 높다는 것을 인정했다.

 

예비타당성조사 종합평가는 경제성(B/C)과 정책성·수익성 등을 평가하는데, 전주탄소산단은 경제성을 따지는 B/C(비용편익) 분석에서 기준치(1.0)를 넘는 1.55로 평가됐고 이 점수가 예타 통과에 결정적인 역할을 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번 사업 확정은 그동안 전주시가 전북도와 지역정치권, 한국토지주택공사(LH) 등과 긴밀한 협조체계를 구축하고 산업단지 조성을 위해 적극 대응해온 결과물로 평가된다.

 

전주시와 LH는 전주탄소산단이 예타를 통과함에 따라 국토교통부로부터 사업지구지정 실시계획 인가를 받고 이르면 2018년 하반기부터 용지매입을 시작하는 등 조성공사를 본격화 할 예정이다.

 

시는 정부의 최종심사를 통과한 탄소산단이 조성될 경우 탄소 연구기관과 기업들이 집적화되고, 연간 1913억원의 생산유발효과와 1099명의 고용유발효과로 지역발전의 촉매제가 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전주탄소산단 조성사업은 덕진구 동산동과 고랑동 일원에 2018년부터 2022년까지 5년간 1680억원(산단 도로공사비 480억원 제외)을 들여 63만8000㎡ 규모의 탄소산업 집적화단지를 조성하는 사업으로, 현재까지 134개 기업이 입주의향서를 제출했다.

 

김승수 전주시장은 “전주가 대한민국을 먹여 살릴 탄소산업의 중심도시로 인정을 받은 것”이라며 “정부가 지정한 지역특화산업에 대한 취지를 살려 탄소산단이 국가의 지원 속에서 잘 조성돼 탄소산업이 지역은 물론 대한민국 미래의 먹거리로 성장하도록 적극 노력하겠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