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주의 한 장애인시설 대표가 억대의 기부금을 불법 모집한 혐의로 기소된 사건에 대해 공지영 작가가 “실제보다 사건이 축소됐다”며 지역사회의 관심을 촉구했다.
공 작가는 그동안 이 사건에 대해 언론 등과 인터뷰 하고 SNS 등에 글을 올리며, 진실 규명을 촉구해왔다.
그는 지난달 29일 전주지법에서 열린 전주 모 장애인시설 대표 사회복지사 A씨와 전직 신부 B씨의 사기 등 사건의 세번째 재판을 방청한 뒤 기자들과 만나 “A씨가 시술한 봉침사례가 많은데 공소는 단 한건만 이뤄졌고, 횡령죄가 빠졌다”며 “이 사건은 전면 재조사가 필요하고, 그렇지 않더라고 검찰이 추가 기소를 해야한다”고 주장했다.
A씨는 자신이 운영하는 시설에서 의료 면허 없이 장애인 한 명에게 봉침을 놓은 혐의(의료법 위반)를 받고 있으며, B씨와 함께 사기·기부금품의모집및사용에관한법률위반 등의 혐의도 받고 있다. 이어 공 작가는 “공소사실을 가지고 보더라도 검찰이 이 사건을 축소했다는 의심을 지울 수가 없다”며 “행정기관 등 지역에서도 이들을 비호한다는 느낌이 든다”고 말했다. “A씨 등의 문제를 예전부터 알고 있었다”는 공 작가는 “재판을 보면서 더 화가 났다”고도 했다. 이날 재판에서는 A씨가 입양한 아이들을 보육원에 맡긴채 사실상 방임했었다는 증언과 이를 반박하는 변호인의 반대 신문이 이어졌지만, 재판 참여 검사는 특별한 반박을 하지 않았다.
공 작가는 “재판을 지켜보면서 톨스토이 ‘부활’에 나오는 판사 같은 검사가 생각났다”고 지적하기도 했다.
이어 그는 “이 사건은 절대 작은 사건이 아니다. 여건이 된다면 재판에 관심을 갖고 끝까지 지켜볼 예정이며, 전주·전북지역사회에서도 관심을 가져달라”고 당부했다.
한편, A씨 등 2명은 혐의를 전면 부인하고 있는 가운데 다음 재판은 오는 27일 오후 3시 전주지법 3호 법정에서 열린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