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설업 재해발생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연도별 재해자수는 2013년 2만3600명, 2014년 2만3669명, 2015년 2만5132명, 2016년 2만6570명, 2017년(6월 기준) 1만1907명으로 매년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5년간 총 재해자수는 11만878명이다.
재해유형별로는 낙상이 5년간 3만6566명으로 총 재해자수 대비 32%로 가장 많았고 그 다음으로 넘어짐이 1만6331명(14%), 공사현장에서 사용되는 다양한 물체에 맞은 것이 1만4018(12 %)명 순이었다.
요양기간별로는 91~180일간의 요양이 필요한 중상이 4만4227명으로 총 재해자수 대비 44%를 차지했으며 29일~90일 2만9116명(26%), 6개월 이상 2만6497명(23%) 순이었다.
특히 건설 현장 재해는 소규모 공사일수록 더욱 많이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총 재해자수의 48%를 차지한 5만3435명이 공사금액 3억~120억의 소규모 공사에서 발생했다. 하지만 1000억 이상의 대규모 공사의 재해자 발생비율은 전체 대비 2.8%에 불과했다.
이에 윤 의원은 “건설현장 특성상 사고 발생 시 중상이상의 큰 사고로 이어질 가능성이 높다”며 “특히나 소규모 공사일수록 근로자 재해가 더욱 많이 발생하고 있는 것을 확인한 만큼 소규모 건설공장 근로자 안전 확보를 위한 특단의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