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북지역에 설치된 오존 농도 측정소의 배출량이 모두 기준치를 초과하는 것으로 나타나 도민들의 건강권 보장을 위한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는 지적이다.
15일 더불어민주당 강병원 국회의원이 발간한 ‘전국지도로 본 오존위험성’ 정책 자료집에 따르면 전북지역 13곳의 오존 농도 측정소의 배출량이 국내 기준치인 8시간 0.06ppm을 모두 초과했다. 측정소는 전주·군산·익산 각 3곳씩 9곳, 정읍·남원·부안·고창 각 1곳씩이다.
이중 가장 높은 배출량을 기록한 곳은 남원 죽항동으로 0.105ppm이었으며, 부안 0.099ppm, 고창 0.097ppm, 전주 삼천동 0.096ppm, 익산 팔봉동 0.091ppm, 군산 소룡동 0.089ppm 등이었다. 나쁨 수준인 0.09ppm을 넘어선 곳이 5곳이나 된다.
가장 배출량이 적은 곳은 정읍 연지동 0.069ppm이다. 하지만 이곳도 우리나라 기준치 보다 높았다. 강 의원은 “전북에서 최대농도가 0.09ppm을 넘는 곳이 5곳이나 된다. 이는 심각한 수준”이라고 지적했다.
그는 이어 “WHO에서 발표한 연구결과, 일정 수준 이상의 오존 농도에 노출된다면 해당지역에서 초과 사망이 발생하는데, 0.09ppm 농도 이상부터 그렇게 된다”며 “전북에서도 일부 지역에서 도민들의 생명 자체가 위협을 받고 있는 셈”이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우리의 건강권 침해 자체가 이미 정부의 대기오염물질 개선을 위한 정책적 노력이 너무나도 부족했다는 것을 보여주는 단적인 증거”라며 “지금 당장 정책적 실패를 솔직하게 인정하고 다른 방향을 함께 모색해야 한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