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유한국당, 기금운용본부 전북 이전 흔들기

국민연금공단 국감서 인력이탈 등 문제 제기 / 의원들 서울사무소 존치 필요성까지 언급해 / 공단도 해외 투자자 접근성 들며 옹호 답변 / 국민의당 김광수 의원만 반론

▲ 국회 보건복지위 국민연금공단 국정감사가 열린 19일 연금공단 국정감사장에서 이원희 이사장 직무대행이 의원들의 질문에 답하고 있다. 박형민 기자

19일 국민연금공단 본사에서 치러진 올해 국감에서 기금운용본부 전북혁신도시 이전 흔들기가 계속됐다.

 

이날 자유한국당 소속 국회의원들은 지난해처럼 공사화 문제에 대해서는 직접 거론하지 않았지만, 서울사무소 존치 필요성을 재차 언급했다.

 

특히 이들은 기금운용본부 인력문제의 가장 큰 원인이 전주이전인 것처럼 피력했다.

 

국회 보건복지위에서 이 같은 문제에 대해 반론을 제기한 것은 국민의당 김광수 의원(전주시 갑)뿐이어서 보건복지위에 전북 지역구 국회의원이 더 배치될 필요성이 있다는 지적이다.

 

국민연금 기금운용본부 내부에서 서울사무소 존치에 대한 바람을 노골적으로 드러내 그간 기금운용본부가 도민들을 기만했다는 지적도 제기됐다.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간사로 활동 중인 김광수 의원은 기금운용본부의 ‘해외 투자자 면담 횟수 감소 원인 분석’에 대한 답변서 내용에 대해 강도 높은 질타를 했다.

 

국민연금은 김 의원에게 “투자자들은 전주 방문을 아주 부담스러워 하는 것으로 판단되며, 해외 관련 투자 부서를 서울사무소 근무로 변경해 접근성을 높이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답변을 내놓았다. 그간 기금운용본부 전주시대를 주창한 행보는 전북도민을 속이는 기만술에 불과했던 것이다.

 

이에 대해 이원희 국민연금공단 이사장 직무대행은 “답변서 내용이 부적절한 부분이 있었다”고 해명했지만, 세부적인 내용에 있어서는 답변을 얼버무리며, 진정성 없는 태도로 일관했다.

 

자유한국당 윤종필 의원(비례대표)은 “접근성이 떨어지는 전주지역으로의 이전에 따라 자녀교육 문제 등 여러 요인들로 이직을 고려하는 기금운용역이 여전히 많다”고 주장했다.

 

같은 당 간사를 맡고 있는 김상훈 의원(대구 서구)은 “민주당에서 전직 국회의원을 지낸 사람에게 이사장을 맡긴다는 것은 코드인사”라며 “이번 정부가 국민연금의 저금통을 깨 함부로 쓰려고 한다는 우려가 크다”고 말했다.

 

한편 김광수 의원은 “국민연금 인력이탈 문제는 전주 이전보다 적절하지 못한 처우 개선문제가 더 크다”고 반박하며 “연기금대학원 설립과 기금운용역 처우개선이 우수인력을 안정적으로 수급할 수 있는 근본적 해결책이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