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촌진흥청이 지난달 유전자변형(GM) 작물 상용화 중단과 함께 GM작물 개발사업단 해체를 결정했지만, 내외부적인 딜레마에 봉착했다.
농진청은 유전자변형 농산물(GMO)생산은 중단하고, 기술력 확보를 위한 연구는 계속한다는 입장을 밝혔지만 자유한국당을 중심으로 한 보수정치권과 학계 및 전문가들의 압박에 시달리고 있다.
농진청 직원들은 반GMO 시민단체와 유전자 변형작물 생산을 계속해야 한다는 학계 및 보수진영과의 팽팽한 입장차 속에서 아슬아슬한 줄타기를 계속하고 있다.
농진청은 ‘GM작물개발사업단’해체와 상용화 추진 중단이 논란이 되자 “GM작물개발사업단은 해체되지만 GMO 연구는 중단·위축되지 않는다”며 “사업단 명칭을 연구단으로 바꿔 연구를 계속 한다”고 해명하고 나섰다.
그러나 최근 국감에서 자유한국당 의원들은 GM작물 추진단을 해체한 데에 강한 불만을 드러냈다.
자유한국당 이만희 의원은 “GM작물 연구는 다가올 미래를 위해 필수적인 분야다”면서“국가기관인 농진청이 GM작물개발사업단을 해체하는 협약을 대표성이 의심되는 특정 시민단체와 체결할 수 있냐”고 지적했다. 특히 이날 라승용 청장은 야당의원들로부터 ‘사퇴하라’는 강도 높은 비난까지 받았다.
도내 시민단체의 한 관계자는 “전북혁신도시 기관인 농진청이 시민단체와 소통하는 걸 문제 삼는 보수정당 의원들이 한심하다”고 일갈했다.
농진청의 한 관계자는“시민사회와 행정이 함께하는 협치는 잘못된 것이 없다”는 입장을 밝혔다.
그러나 다른 관계자는“연구 개발 등 전문영역은 행정과 다른 점이 있다”면서“국가기관으로서 정치권과 시민단체의 요구를 수용해야하는 부분은 있지만, 연구 활동이 정치적 입장에 의해 이러지도 저러지도 못하는 현실이 안타깝다”고 토로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