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창군이 내년도 환경부 신규사업 대상지역으로 선정돼 ‘지방상수도 현대화 사업’을 추진한다고 24일 밝혔다.
‘지방상수도 현대화 사업’은 내년부터 오는 2022년까지 총 사업비 394억을 투입해 81.87km의 노후 상수도관을 정비하고, 상수관망 545km에 대한 누수탐사와 블록시스템, 통합제어시스템을 구축하는 사업이다.
사업이 완료되면 군민들의 오랜 숙원이었던 노후 상수관망의 현대화를 통해 상수도 보급률 상승과 함께 맑고 깨끗한 수돗물을 안정적으로 공급받을 수 있게 된다.
군에 설치된 상수관로는 총 연장 1254km에 달하며, 이 중 약 11%인 147km에 달하는 상수관로가 20년 이상 된 노후관로로 잦은 누수발생과 유수율(상수도가 각 가정에 도달하는 비율)을 떨어뜨리는 원인이 되고 있다.
군 정수장에서 생산된 총 송수량 중 요금으로 징수되는 수량을 나타내는 비율인 유수율은 53.6% 수준밖에 되지 않아 전국 평균인 83.7%에 비해 매우 낮은 수준을 보이고 있다.
또한 물 공급의 효율성을 보여주는 대표적인 지표인 누수율 또한 41.6%에 달해 지방공기업회계의 재정건전성을 악화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최근 5년간 고창군 상수도 누수발생 건수는 7027건으로 복구비용만 23억여원이 소요되는 등 막대한 재정이 소요돼 왔다. 또한 누수 발생 시에는 상수관의 정확한 매설 위치를 찾기 어려워 복구를 위한 굴착공사 때 관 훼손과 상시적인 관리의 미흡으로 인한 상수관 부식으로 15년~20년을 주기로 교체를 하는 등 관망 정비와 유지관리시스템 구축이 절실한 설정이었다.
박우정 군수는 취임 초기부터 노후 상수도 시설의 근본적인 문제를 해결함으로써 군민들의 오랜 숙원을 해결해 안정적인 식수를 공급하기 위해 관련 국가예산 확보에 노력해 왔다.
이에 박 군수는 총 32회에 걸쳐 중앙부처를 방문,지위고하를 막론하고 관계자를 직접 만나 사업의 당위성과 시급성 등을 설명하고 협조를 구해 사업비를 확보했다.
군은 이 사업을 통해 고창읍을 비롯한 21개소에 상수도 블록시스템을 구축해 상수도 관망을 바둑판 모양의 블록형태로 구성하고 블록별 수량과 수압을 실시간으로 감시해 유수율을 분석하는 시스템을 구축할 계획이다.
블록시스템 중요지점에 유량계, 수압계 같은 감시시설과 감압밸브 등 제어설비를 설치해 안정적이고 효율적인 배수관리가 가능토록하고 재해에도 강하고 복구하기에도 쉬운 배수관망을 형성해 안정적 수돗물 공급과 버려지는 수돗물도 줄여 나갈 방침이다.
박우정 군수는 “노후 상수도 현대화는 가뭄 시 용수 공급과 반복되는 용수부족 문제를 비롯해 땅 속으로 버려지는 어마어마한 수자원의 낭비를 막고 군민들에게 맑은 물을 공급하는데 꼭 필요한 사업”이라며 “이번 사업비 확보로 지방상수도 운영과 관리 등에 대한 선순환 구조를 구축해 군민들에게 안정적으로 맑은 물을 공급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