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협 공급 학교급식 33%가 수입산

명태·가자미·낙지·임연수 등 최근 5년간 2700톤 / 초교에 가장 많이 납품…국산이용 앞장 역할 외면

국산품 사용을 유도하고 홍보해야 하는 수협이 학교급식용으로 납품하는 수산물의 1/3을 수입산으로 공급한 것으로 나타나 도마위에 올랐다.

 

국회 농림축산식품해양수산위원회 소속 박완주의원(더불어민주당, 천안을)이 수산업협동조합(이하 수협)로부터 제출받은 ‘최근 5년간 학교급식 납품 수산물 현황’에 따르면 최근 5년간(2013-2017년 9월) 학교로 납품된 수입 수산물이 전체 8022톤 중 2700톤으로 물량의 33.7%를 차지했다.

 

연도별로는 2013년 33.7%, 2014년 32.5%, 2015년 31.8%, 2016년 34.2%, 2017년9월 37.8%이다.

 

지난해 학교 급식의 수입산 납품실적을 품목별로 살펴보면 명태는 175톤으로 전체의 31.5%를 차지해 가장 많았고, 가자미 17.5%, 낙지 13.3%, 임연수 12.3%, 새우 3.8%등이 뒤를 이었다.

 

수입 국가별로는 기간 러시아산 수산물이 253톤으로 전체 555톤 물량의 절반가량을 차지했다. 이어 미국이 104톤으로 18.7%, 중국 91톤(16.4%), 베트남 68톤(12.3%), 기타 39톤(7%)등의 순으로 많았다.

 

수협이 납품하는 수입수산물의 대부분은 초등학교로 유통됐다.

 

2017년 9월 기준으로 총 776곳의 학교가 수협으로부터 수산물을 납품받았다. 특히 초등학교가 489곳으로 63%를 차지해 1위였고, 다음으로 중학교 157곳, 고등학교 71곳, 기타 특수학교 등이 59곳으로 확인됐다.

 

이에 박완주 의원은 “국내 어업인들의 소득증대를 도모해야할 수협이 우리 아이들의 급식에 수입산 수산물을 납품하고 물량을 늘려가고 있다는 점은 문제가 있다”며 “학교 대상 국내 수산물사용을 유도하고 홍보하는 등 수협의 역할과 책임을 강화해야 한다”고 지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