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복남 부의장은 지난 21일 열린 행정사무감사에서 ‘김제시 비정규직 근로자의 정규직 전환’을 촉구 하며 집행부의 긍정적인 답변을 이끌어냈다.
김 부의장은 이날“문재인 정부 출범 후 공공부문 비정규직 근로자의 정규직 전환이 전국적으로 화두가 되고 있으나 대체로 정규직 전환이 지지부진 한 것으로 언론에 보도 되고 있다”면서 “현재 김제시의 정규직 전환 기준과 추진 상황을 밝혀달라”고 주문했다.
이와 관련, 김황중 김제시 행정지원과장은 “현재 김제시는 약 400여명의 비정규직 근로자가 있는 것으로 조사 돼 있고, 이중 전환 대상인 상시 지속적 업무(연중 9개월 이상 향후 2년이상 지속될 것으로 판단 되는 업무)에 근무 하는 근로자는 약 100여명 정도로 파악 되고 있다”면서 “중앙부처에서 하달된 지침에 따라 정규직 전환심의위원회를 개최 하여 공정성 있는 정규직 전환을 완료하도록 하겠다”고 답변했다.
김 부의장은 이에 대해 “비정규직의 정규직 전환에 있어 임금부문에 대해 걱정이 되겠지만 전환심의위원회에서 전환여부 및 전환범위, 전환 후 임금 체계 등을 철저히 분석 하고 심의 하여 차별없는 정규직 전환을 추진해 달라”고 말했다.
김 부의장은 또한 “김제시의 선심성 사회단체 지방보조금 편성에 대해 문제가 많다”면서 “지난 2013년 26억원이었던 지방보조금이 5년이 지난 2018년에는 175억원이 되었으며, 이중 지방재정법이 개정 돼 추가된 민간자본사업보조예산 87억원과 운수업계 보조금 29억원을 빼면 사회단체보조금이 59억원으로 2배 이상 늘어났다”고 밝혔다.
그는 이어 “증액된 예산의 내면을 보면 축제예산의 통계목 변경과 복지예산이 증가되었음을 알 수 있다”면서 “이렇게 증액된 이유가 혹시 선심성 보조금 지출을 위함이 아닌가 의심하지 않을 수 없으니 향후에는 선심성 사업은 지양 하고 반드시 해야 할 사업에 대해 최소 비용으로 최대 효과를 얻을 수 있도록 보조금 심의에 신중을 기해 달라”고 촉구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