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전기안전공사 자료에 따르면 축사 화재 주요 원인으로 누전차단 미설치 및 작동불량(27.7%), 분전함 및 전기기구 접지 미설치·기준치 초과(23.4%), 절연저항(누전) 기준치 미만(20.6%), 옥내외 배선상태 불량(19.8%), 개폐기(차단기)용량 과다 및 미설치(4.3%), 인입구 배선손상 및 노후배선, 빗물침투(4.2%) 순으로 나타났다.
이에 따라 전기로 인한 화재 예방을 위해서는 △누전차단기 설치 및 월1회 이상 점검 △정격 용량의 퓨우즈 및 규격전선 사용 △전기용량이 큰 전기기계·기구 동시 사용 금지 △과부하를 발생 하는 전기기구는 반드시 한 개의 콘셉트에 한 개의 기구만 사용 △축사 내 배선 및 환풍기· 분전함 내 먼지와 거미줄 제거 △소화기 비치 및 점검 등이 필요 하고, 화재발생에 대비한 긴급 연락망 숙지와 가축재해보험(축사 특약 반드시 가입)에 가입해야 피해를 최소화 할 수 있다는게 관계자의 설명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