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부, '고교 학점제' 2022년 도입

학생이 수강신청·과목 선택 / 기준 학점 채워야 졸업 인정

희망하는 진로에 따라 필요한 과목을 선택해 기준 학점을 채우면 졸업을 인정하는 ‘고교 학점제’가 오는 2022년부터 도입될 전망이다.

 

교육부는 내년부터 학점제 도입 준비를 위해 정책연구학교 60곳, 다양하고 특색 있는 교육과정 확산을 목표로 선도학교 약 40곳을 각각 지정·운영할 계획이다.

 

교육부는 27일 이런 내용의 ‘고교 학점제 추진 방향 및 연구학교 운영계획’을 발표했다. 교육부는 검토와 공론화 등을 거쳐 현재 초등학교 5학년 학생이 고1이 되는 2022년 고교 학점제를 도입할 계획이다.

 

고교 학점제는 학생의 과목 선택권 보장, 교수학습·평가 개선을 목적으로 고교생의 진로 개척과 잠재능력 개발을 위한 실리추구형 학사제도다.

 

특히 대학처럼 교육과정 이수 여부를 출석 일수가 아닌 학점을 기준으로 판단한다.

 

학생들이 수강신청을 통해 배울 과목을 선택할 수 있다. 사회·교양·예체능은 필요한 과목을 추가 개설할 수 있고, 수학·과학 등은 난이도와 학습량에 따라 수준별 수업 편성이 가능하다.

 

수업은 학년 구분 없이 들을 수 있고 토론·실습 중심으로 운영된다. 평가는 성취평가제(절대평가)를 적용해 과정 중심으로 이뤄지며, 중장기적으로는 대학의 F학점과 비슷한 개념의 이수·미이수 제도 도입도 검토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