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의점 약품확대 논란과 관련,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국민의당 간사로 활동 중인 김광수 의원(전주갑)은 “편의점 판매 약품을 늘리는 것보다 공공성·안전성·접근성을 담보하는 방향으로 정책이 결정돼야 하며, 심야공공약국 확대가 그 방안이 될 수 있을 것”이라고 3일 밝혔다.
김 의원이 식품의약품안전처와 건강보험심사평가원에서 받은 자료에 따르면 편의점 안전상비의약품 공급량이 2012년 194만개에서 2016년 1956만개로 10배, 상비의약품 부작용 보고건수도 2012년 123건에서 2016년 367건으로 3배 가까이 증가했다. 이로 인해 복지부가 편의점 약품 확대를 접근성에만 매몰돼 추진할 것이 아니라 안전성을 최우선 기준으로 삼아야 한다는 주장이 설득력을 얻고 있다.
김 의원은 “현재 편의점에서 판매되는 비상 상비약품은 편의점주 또는 아르바이트생들이 판매하고 있다”며 “이는 전문가의 복약지도가 전무해 안전성뿐만 아니라 오·남용에도 무방비한 상태”라고 지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