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방선거가 6개월 앞으로 다가온 가운데 지역 정가의 관심이 국민의당 발 정계개편에 쏠리고 있다. 정계개편 결과에 따라 현재 지역 내에서 형성된 내년 지방선거 대결구도의 변화가 불가피할 것으로 보여서다.
당초 지역 정가에서는 내년 지방선거가 집권여당인 더불어민주당과 전북여당인 국민의당의 대결구도로 치러질 것으로 전망했다. 하지만 국민의당과 바른정당의 중도 통합론이 불거지면서 이 문제가 내년 전북 지방선거의 주요 변수로 떠오르는 양상이다.
지방선거를 앞두고 국민의당 내 통합 찬성파로 대변되는 수도권과 반대파인 호남이 결별할 경우 전북 지방선거의 대결구도 및 판도가 급격하게 변할 수 있어서다.
이런 가운데 국민의당 내부에서 바른정당과의 통합 논의를 두고 갈등을 빚어온 찬반 양측이 독자 세력화 수순을 본격적으로 밟아가면서 당 분열이 기정사실화하는 것 아니냐는 관측에 힘이 실리는 모습이다. 실제 13일 열린 통합 반대파인 평화개혁연대 행사에서는 “합의이혼을 고민할 때”라는 말이 공공연히 나왔으며, 통합파 진영은 14일 부산에서 안철수 국민의당 대표와 유승민 바른정당 대표가 참여한 가운데 세미나를 열고 통합을 향해 가속페달을 밟을 예정이다.
양측이 이처럼 서로 다른 입장을 고수하는 데는 지방선거를 앞두고 서로의 셈법이 다르기 때문이라는 게 정치권의 분석이다. 통합 찬성파는 지방선거전에 바른정당과 통합 또는 선거연대를 마무리해야 수도권 등에서 선전하며 다당제의 틀을 유지할 수 있다고 보고 있다. 반면 호남 의원들은 정체성이 다른 바른정당과 통합 또는 선거연대를 하면 그렇지 않아도 어려운 내년 호남지역 지방선거에서 존재감을 완전히 상실할 수도 있다는 위기감을 갖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이 때문에 정치권에서는 내부 분열은 안 된다는 상당수 의견에도 불구하고, 양측이 결국은 갈라서지 않겠냐는 전망에 힘이 실린다.
이럴 경우 전북지역 내년 지방선거는 민주당 대 국민의당 구도가 아니라 통합 반대파 의원들이 주도하는 신당 또는 무소속 연대와 민주당의 대결구도가 형성될 것으로 예상돼 그동안 국민의당으로 내년 지방선거 출마를 준비하던 입지자들의 전략 수정이 불가피할 것으로 전망된다.
이와 함께 민주당에 일방적으로 끌려가는 듯 한 현재의 지방선거 분위기에도 상당부분 변화가 생길 수 있을 것으로 정치권은 내다보고 있다.
정치권의 한 관계자는 “갈수록 상황이 악화되고 있다. 찬성측이 통합을 강행할 경우 호남 의원들은 동참하지 않고 다른 선택을 할 수 밖에 없을 것”이라며 “다만 이후 새로운 정당을 만들어 선거에 나설지, 아니면 무소속 연대 형태로 지방선거를 치를지는 상황을 지켜봐야 하지 않겠냐”라고 진단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