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불어민주당이 내년 지방선거에 출마할 광역·기초단체장 후보에 대한 국민참여경선을 여론조사 방식으로 가닥을 잡은 것으로 전해졌다.
17일 정치권에 따르면 민주당은 최근 당 대표와 사무총장을 비롯한 주요 정무직 당직자 등이 참석한 가운데 열린 고위 전략회의에서 내년 지방선거의 경선 방식을 여론조사 50%와 권리당원 조사 50%를 각각 반영하는 방안으로 공감대를 확인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에 따라 민주당은 사무총장이 단장인 지방선거기획단 차원에서 관련 방침을 정리한 뒤 중앙당 및 시도당 공천심사위원회가 구성되면 최종 안을 확정할 예정이다.
민주당이 ‘여론조사 50% 및 권리당원 조사 50%’로 경선을 진행하기로 의견을 모은 것은 당규에 있는 국민참여경선의 방법과 반영 비율, 적용 대상을 구체화했다는 의미가 있다.
민주당은 당규(공직선거후보자추천규정)에서 국민참여경선은 선거인단투표나 전화면접여론조사, 휴대전화투표, 인터넷투표 등의 방식으로 진행하되 권리당원은 50% 이하, 일반 유권자는 50%이상을 하도록 규정하고 있다.
여론조사의 경우 안심번호를 활용해 진행되며, 권리당원 50% 조사는 해당 선거지역에 거주하는 권리당원 전원을 대상으로 지지도를 조사하는 방식으로 진행할 예정이다.
민주당이 이처럼 경선 규칙을 조기에 구체화하는 것은 높은 문재인 대통령과 당의 지지율로 후보 기근에 시달리는 야당과 달리 출마 희망자가 몰리고 있기 때문이다. 경선에 임박해 규칙을 정할 경우 후보 간 유불리를 놓고 파열음이 나올 수 있는 만큼 미리 원칙을 세운 셈이다.